Transmission-daemon
소개[편집]
https://www.transmissionbt.com/
트랜스미션은 리눅스계의 비트토렌트이다. 트랜스미션은 우분투의 버젼에 따라서 기본으로 설치가 되어있을수도 있다. 그중에 하나인 Transmission-daemon은 사실은 클라이언트지만, WEB-Interface를 지원하여 웹브라이져를 통한 원격으로 조종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NAS나 서버에 적합하다.
설치[편집]
apt를 이용해서 간단히 설치해준다.
{{#ifeq: msg|user|~|{{#ifeq: misc|user|~ sudo apt-get install transmission-daemon|{{#ifeq: root|user|ubuntu-korea|{{#ifeq: user|user|user@ubuntu-korea|(undefined)}}}} ~ {{#ifeq: root|user|#|{{#ifeq: user|user|$|$}}}} sudo apt-get install transmission-daemon}}}}
설정[편집]
기본적으로 설정에 /etc/transmission-daemon/settings.json파일을 이용한다. 여러가지 설정이 가능하다. 포트번호나 계정과 비밀번호, 연결수등을 설정할수 있다. 여기서는 복잡한 설정보다 기본적으로 사용이 필요한 설정들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아래는 기본설정에서 수정되거나 중요한 설정들을 보여준다.
주의: settings.json 파일을 편집할 때는 데몬을 종료한 후 편집해야 한다!
{{#ifeq: msg|user|~|{{#ifeq: misc|user|~ sudo vi /etc/transmission-daemon/settings.json|{{#ifeq: root|user|ubuntu-korea|{{#ifeq: user|user|user@ubuntu-korea|(undefined)}}}} ~ {{#ifeq: root|user|#|{{#ifeq: user|user|$|$}}}} sudo vi /etc/transmission-daemon/settings.json}}}}
<SyntaxHighlight lang="bash">
"bind-address-ipv4": "0.0.0.0", #바인드 ip주소이다. "download-dir": "/down", #다운로드 디렉토리이다. "rpc-bind-address": "0.0.0.0", #WEB-Interface으로 접근가능한 주소이다. 0.0.0.0는 모두 접속가능하다. "rpc-authentication-required": true,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지 설정이다 false로 설정할시에 그냥 접속할수있다. "rpc-enabled": true, #당연하지만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게 활성화가 필요하다. "rpc-password": "passwd", #비밀번호 접속계정의 비밀번호다. 설정후에 다시보면 난수로 되어있다. "rpc-username": "user", #접속계정 이름이다. "rpc-whitelist": "*.*.*.*", #whitelist... "rpc-port": 9091, #원격으로 접속하는 WEB-Interface의 포트번호이다.
</SyntaxHighlight>
서버가동[편집]
데몬의 가동에 /etc/init.d/ 보다 service를 이용하자. 완료가 된다면, 서버의 주소와 포트번호를 웹브라우져에 입력해주자 보여줬던 설정같은 경우에 서버의 주소가 192.168.1.100이라면 192.168.1.100:9091이 된다.
{{#ifeq: msg|user|~|{{#ifeq: misc|user|~ sudo service transmission-daemon restart|{{#ifeq: root|user|ubuntu-korea|{{#ifeq: user|user|user@ubuntu-korea|(undefined)}}}} ~ {{#ifeq: root|user|#|{{#ifeq: user|user|$|$}}}} sudo service transmission-daemon restart}}}}
이외[편집]
설정 초기화 증상[편집]
버그인지 알수없으나, 설정을 저장하고 재시작을 했을때 초기화 되는 현상이 발생할수도 있다. 이럴때는 restart대신에 reload를 해주자
{{#ifeq: msg|user|~|{{#ifeq: misc|user|~ sudo service transmission-daemon reload|{{#ifeq: root|user|ubuntu-korea|{{#ifeq: user|user|user@ubuntu-korea|(undefined)}}}} ~ {{#ifeq: root|user|#|{{#ifeq: user|user|$|$}}}} sudo service transmission-daemon reload}}}}
만약 굳이 restart 를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stop 이후 start 를 하면 설정이 제대로 반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