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ba

Ubuntu Korea Communit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공식사이트 : https://www.samba.org/

smb 프로토콜(Server Message Block)을 사용하여 구현되어 네트워크로 새로운 저장장치를 사용할수 있다.

그것을 사용하는 samba는 파일서버의 대표이다. GNU라이센스를 채택하고, 덕분에 리눅스/유닉스이외에 윈도우도 지원하는 서버 프로그램이다. 뿐만아니라 프린터도 지원한다. 어느정도 고급프린터를 사게된다면, 프린터에 네트워크 시스템을 갖추는것이 가능한데 삼바를 포팅하여 사용하는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오픈소스이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원하기 때문에 다양한 이유로 많이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root-file system을 로드한다던가, 네트워크만 가능한 상태에서 디스크를 사용하고 싶을때 사용하기도 한다. 윈도우와의 연결점이 되는 파일서버이기도 하다.


앞서 언급했던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직접 커널을 컴파일할시 smb 프로토콜을 지원하게 해주고 설정해주는것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삼바 설치[편집]

apt-get을 이용하여 무리없이 설치하자

{{#ifeq: msg|user|~|{{#ifeq: misc|user|~  sudo apt-get install samba|{{#ifeq: root|user|ubuntu-korea|{{#ifeq: user|user|user@ubuntu-korea|(undefined)}}}} ~ {{#ifeq: root|user|#|{{#ifeq: user|user|$|$}}}}  sudo apt-get install samba}}}}

삼바 설정[편집]

역시나 설정 파일인 conf파일을 편집하는것이 시작이다. 파일의 위치는 /etc/samba/smb.conf 이다. 기본적인 설정파일이 원체 길어서 일부분만 넣었다. 아래의 부분을 추가해주면 기본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설정파일의 변수들에 대해서 간단히 언급한다. 당연하겠지만, conf파일에서 주석으로 처리된 부분을 읽다보면 기본적인 설정뿐만 아니라 응용기가 가능하다.


[ 이름 ] 식별자-해당되는 파일의 이름을 보여준다.
comment 설명
path 공유대상이 되는 디렉토리
valid users 허가된 사용자
writable 쓰기 가능

<SyntaxHighlight lang="bash"> /etc/samba/smb.conf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lang="bash"> [pi] comment = samba directory path = /usb valid users = pi public = yes writable = yes </SyntaxHighlight>

사용자 등록[편집]

사용자를 등록해야한다. 이전에 pi를 사용자로 등록했으므로 pi를 등록하겠다. 가끔씩 user관련 명령이 없다고할때에 samba-common-bin 패키지를 확인하자. 등록후에 비밀번호까지 정해주면 기본적인 과정이 끝난다.

{{#ifeq: msg|user|~|{{#ifeq: misc|user|~  sudo smbpasswd -a pi|{{#ifeq: root|user|ubuntu-korea|{{#ifeq: user|user|user@ubuntu-korea|(undefined)}}}} ~ {{#ifeq: root|user|#|{{#ifeq: user|user|$|$}}}}  sudo smbpasswd -a pi}}}}

참고[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