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render
소개[편집]
gstreamer는 오픈소스기반의 미디어 프레임워크이다.gstreamer와 GTK+를 이용하여 미디어 프로그램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Gmrender는 Upnp에서 render서버 프로젝트이다. 이미 xmbc에서 지원이 가능한 기능이기도 하다. Gmrender는 음악재생만 가능하다.
안타깝게도 패키지 지원은 되지않는다. 따라서 패키지 설치가 아닌, 소스코드 빌드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원래는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우분투에서도 가능하다.
설치[편집]
코드를 git에서 다운로드 받는다.
<SyntaxHighlight lang="bash"> $git clone https://github.com/hzeller/gmrender-resurrect.git $cd gmrender-resurrect </SyntaxHighlight>
다음으로 컴파일에 필요한 개발용 패키지와 툴들을 설치한다.
<SyntaxHighlight lang="bash">
$ sudo apt-get install autoconf automake libtool $ sudo apt-get install libupnp-dev libgstreamer0.10-dev \
gstreamer0.10-plugins-base gstreamer0.10-plugins-good \ gstreamer0.10-plugins-bad gstreamer0.10-plugins-ugly \ gstreamer0.10-ffmpeg \ gstreamer0.10-pulseaudio gstreamer0.10-alsa </SyntaxHighlight>
autogen과 configure를 이용하여 컴파일과 설치를 한다.
<SyntaxHighlight lang="bash">
$ ./autogen.sh $ ./configure $ make $ sudo make install $ sudo cp scripts/init.d/gmediarenderer /etc/init.d
</SyntaxHighlight>
설정[편집]
소개에도 설명했지만, 원래 라즈베리파이용 프로젝트였다. 따라서 스크립트를 조금 수정할 필요가 있다. User이름을 root로 변경시켜주면 기본적인 동작을 한다.
<SyntaxHighlight lang="bash">
/etc/init.d/gmediarenderer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lang="bash">
DAEMON_USER="root"
</SyntaxHighlight>
service[편집]
이제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몬을 구동시켜주면 된다. 구동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Upnp를 이용한 스트리밍을 즐기면된다.
<SyntaxHighlight lang="bash">
$sudo service gmediarenderer start
</SyntaxHighlight>
이외[편집]
데몬을 구동하는 컴퓨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wifi만을 연결을 해야하는 버그가 있다. 물론, 이것이 작성자만의 특별한 케이스일수도 있다. 그외에 /etc/init.d/gmediarenderer에 옵션을 설정하여 몇가지를 바꾸는것이 가능하다.
참조[편집]
http://blog.scphillips.com/2013/07/playing-music-on-a-raspberry-pi-using-upnp-and-dlna-revis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