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rok
변경사항[편집]
2006년 3월 12일 nahs 가 처음으로 만들었습니다.
amarok 란[편집]
amarok 는 kde/qt 를 기반으로하는 음악 플레이어입니다. 강력한 태그기능과 정렬기능으로 kde 의 대표 프로그램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습니다.
amarok 를 사용하기 위해서[편집]
amarok 는 kubuntu 환경 즉 kde 환경에서 사용하는것이 적합하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것은 아니므로, gnome 환경에서도 사용할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추가할수 있습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sudo apt-get install amarok</SyntaxHighlight>
amarok 는 자체 음악 플레이 엔진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는 gstreamer 를 사용합니다. gsteamer 는 훌륭한 엔진이긴 하지만 wma 화일을 재생할 수 없고, 초보자들이 사용하기에는 addon 패키지를 설치하기 힘이 듭니다. 따라서 xine 엔진을 추천합니다 xine 엔진은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설치합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sudo apt-get install amarok-xine</SyntaxHighlight>
amarok-xine 에서 wma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코덱을 깔아주셔야합니다. 코덱 설치에 대해서는 kmplayer 사용하기 뒷부분에 코덱 설치하기를 봐주시기 바랍니다.
대퍼 사용자분들은 아마로크 1.4 를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
- wget http://people.ubuntu.com/~jriddell/kubuntu-packages-jriddell-key.gpg
- sudo apt-key add kubuntu-packages-jriddell-key.gpg
</SyntaxHighlight> 하신후
<SyntaxHighlight lang="bash">#sudo nano /etc/apt/sources.list </SyntaxHighlight>
하셔서
<SyntaxHighlight lang="bash">deb http://kubuntu.org/packages/amarok-14beta1 dapper main</SyntaxHighlight>
를 제일 윗줄에 추가하고 ctrl-x 로 저장하고 나옵니다.
그후 sudo apt-get update 하신후 sudo apt-get install amarok 혹은 amarok-xine 을 하시면 됩니다.
amarok 시작하기[편집]
amarok 는 프로그램 -> 멀티미디어 에 있습니다. 혹은 터미널에서 amarok 를 치셔도 됩니다.
처음시작하게 되면 First-run Wizard 가 반겨줍니다. 자신이 원하는 설정을 하면됩니다.
collection 부분에서 재귀적 폴더찾기를 선택해 주시면, 선택한 폴더 이하의 모든 하위폴더에서 파일을 검색합니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베이스는 sqlite 를 사용합니다. mysql 을 사용하는 쪽이 파일이 많아졌을때 속도가 더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부분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합니다.
firstrun wiard는 도구 -> first run wizard 메뉴를 통해 언제나 다시 실행할수 있습니다.
그후 다음과 같은 내용을 수정해 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설정 -> amarok 설정 -> 엔진에서 자신에 알맞는 엔진을 선택해줍니다.
amarok 1.4.0 미만의 버전을 쓰신다면 설정 -> amarok 설정 -> 일반에서 euc-kr 로 인코딩을 하게 할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뒤에 태그변환하기를 봐주십시오.)
음악 연주 ~[편집]
음악연주는 아마로크 메인창의 모음집을 통하여 자신이 곡을 선택하거나 konquerer 등에서 아마로크로 화일을 드래그앤 드롭하는 방식으로 들을수 있습니다.~
Group by 버튼을 통해 어떤식으로 정렬할지를 정할 수 있습니다.
모음집에서 예를들어 가수이름이 나오고 그다음에는 앨범년도 그다음에는 앨범이름이 나오게 정렬하려면 group by 버튼을 누르고 first level -> artist, second level -> (year) - album, third level -> album 의 순으로 해주시면 되겠지요.
아마로크 1.4 이상에서는 윈도우즈에서 이동식 장치로 인식되는 모든 장치를 media device 에서 관리하실수 있습니다. 컴퓨터와 mp3 플레이어를 연결하고 media device 탭을 누른후 스패너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서 vfat Device 를 설정하신후 connect 를 누르면 화일을 옮길수 있습니다.
연주되는 화일 목록에 있는 것을 랜덤하게 재생하거나 계속 반복하게 하거나 한곡만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4 번에 위치해 있는 세개의 아이콘을 눌러주시면됩니다 누르면 설명이 뜨므로 이해하기 쉬우실 겁니다.
태그 관리[편집]
아마로크는 표준의 태그를 잘 지원하지만, 아쉽게도 국내에 유통되는 mp3 대부분은 표준을 지키지 못한 태그가 많습니다.
어쩔수 없이 수동으로 태그를 변환해야 될 일이 생깁니다.
우선 윈도우즈 상에서 변환하시는 분께는 tag&rename 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추천합니다.(configure 에서 유니코드를 반드시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리눅스상에서 변환하시는 분은 아마로크상에서 변환하실수 있습니다. 노래를 우클릭하고 Edit Track Information 을 누르시면 됩니다.
아마로크상에서 좀더 편안하게 변환하시려면, 변환창에서 filename schemes 를 눌러 곡의 포맷과 이름이 일치하게 변환시켜주신후 guess tags from file name 하시면 쉽게 변환하실수 있습니다. 앨범을 선택하고, Edit track informatin 하시면 엘범 전체의 사항을 쉽게 변환하실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매우 딱 편한 리눅스용 id3 프로그램이 없습니다.ㅠㅠ kid3 은 한글이 깨져서 쓰기가 매우 안좋습니다. 차차 좋은프로그램이 나오면 추가해 나가겠습니다.
MySQL과 아마로크[편집]
mysql을 사용하여 sqlite 보다 빠르게 아마로크를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우선 mysql 을 설치해야합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sudo apt-get install mysql </SyntaxHighlight> 우선 mysql 을 유니코드 환경으로 만듭니다. 이과정을 하지 않으면 amarok 가 죽습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sudo nano /etc/mysql/my.cnf</SyntaxHighlight>
client와 mysqld 부분에 default-character-set utf8 을 써 넣습니다.(둘다 넣으셔야 합니다.) 그후 mysql 을 재시작합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sudo /etc/init.d/mysql restart</SyntaxHighlight>
이 과정이 끝나고 나서, db 를 만들어주고 루트 패스워드를 만듭니다. 그리고 mysql 에 접속합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
- sudo mysql_install_db
- sudo mysqladmin -u root -p 비밀번호
- mysql -u root -p 비밀번호
</SyntaxHighlight> mysql> 에서 사용자를 추가하고 amarok 데이터베이스를 만듭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 TO '사용자이름' @ '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mysql> flush privileges; mysql> create database amarok; mysql> grant all on amarok.* to '사용자이름' @ 'localhost'; mysql> flush privileges; mysql> exit; </SyntaxHighlight> 그후 아마로크 설정 -> 모음집에서 database 를 mysql 을설정하고 hostname 에는 localhost 를 database 에는 amarok 을 그리고 설정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넣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