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4 문제해결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제가 경험한 이런 저런 문제들에 중에서 '우분투한국사용자모임'에서 만난 여러분들의 친절한 도움을 받아 해결한 내용들을 적어 봅니다. 같은 상황을 겪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면서 이찬진님이 페이스북에 올린 내용을 기반으로 합니다.
처음 설치하고 한글만 입력되고 영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의 해결 방법[편집]
입력 소스가 '한글'인데도 한글 입력이 안되면[편집]
- '시스템 설정'의 '언어 지원'에 들어가서 한글이 제일 위에 있는지 확인해 보셔서 아니면 드래그해서 제일 위로 올린 다음에 로그아웃이나 리부팅을 해서 입력 소스의 아이콘이 태극 모양으로 바뀌었는지 확인하십시오. 만약 아이콘이 다른 모양이면 한글 입력이 안됩니다.
두벌식이 아닌 세벌식 등 다른 한글 입력방법을 사용하려면[편집]
터미널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편집]
- '시스템 설정'의 '텍스트 입력창'에서 '한국어 (Hangul)'을 선택하고 그 아래 쪽에 있는 설정 아이콘을 클릭해 원하는 한글 입력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편집]
한글 글자 윗부분이 잘리는 문제 해결 방법[편집]
2014. 5. 11. 추가: 이제 문제가 해결된 libfreetype6 패키지 버전 2.5.2-1이 배포되었습니다. 글꼴 힌팅을 강제로 바꾸기 위한 목적이 아니면 문제 자체가 해결되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 문제는 freetype 패키지의 버그로 밝혀졌으며 현재(2014. 4. 26) 우분투 저장소에는 버그가 수정된 패키지가 업데이트되지 않았습니다. 차후 이 문제는 별도의 설정 없이 해결될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이전까지 이 문제에 대한 해결법이 유효합니다.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편집]
- https://github.com/igxactly/config-fonthinting-nanum 에 설명된 이 방법은 크롬과 파이어폭스 브라우저 창 안의 내용에서 글자가 잘리는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원하는 폰트에 바꾸려면 90-fonts-nanum.conf 파일의 내용을 고치시면 됩니다.
- 모든 앱의 UI에서 글자가 잘리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Unity Tweak Tool'을 검색해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Fonts로 들어가서 hinting 값을 None, Medium, Full 중의 하나로 바꾸시면 됩니다.
한글과 영어 전환을 키보드의 '한/영' 키로 지정하는 방법[편집]
터미널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편집]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편집]
-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dconf'를 검색해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org - gnome - desktop - wm - keybindings - switching-input-source 의 값을 ['Hangul'] 로 바꾸고 그 값이 '시스템 설정'의 '텍스트 입력창'에 제대로 반영됐는지 확인한 후 로그아웃하고 로그인하면 지정됩니다.
- 이 방법은 실제 컴퓨터에 우분투를 설치했을 경우와 VirtualBox에 설치했을 경우는 되고 VMWare Player에 설치했을 경우에는 안됩니다.
Launcher에서 앱 아이콘을 클릭해서 앱을 최소화하고 최소화를 되돌리게 하려면[편집]
터미널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편집]
-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CompizConfig SettingManager'를 검색해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Ubuntu Unity Plugin - Launcher - Minimize Single Application Windows 를 켜십시오.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편집]
마우스의 스크롤 휠의 방향을 반대로 만드는 방법[편집]
터미널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편집]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편집]
크롬 브라우저 설치하는 방법[편집]
터미널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편집]
- http://google.com/chrome 에서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고 자신에게 맞는 버전을 선택하면 설치가 됩니다.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편집]
리눅스민트의 데스크탑환경 중의 하나인 cinnamon을 우분투에서 사용하려면[편집]
터미널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편집]
- http://www.webupd8.org/2014/04/cinnamon-22-released-with-system.html
- 2.2 nightly 버전의 PPA를 '시스템 설정'의 '소프트웨어 & 업데이트'에 추가하고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cinnamon'을 검색해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로그아웃하고 로그인 화면에서 암호 입력하는 필드 위쪽에 데스크탑 선택하는 곳에서 cinnamon과 unity 그리고 gnome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편집]
우분투에서 윈도우즈를 사용하려면[편집]
터미널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편집]
-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VirtualBox'를 검색해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평가용 윈도우즈의 VM을 http://modern.ie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가장 많이 필요할 Window 7 - IE8 조합의 경우 90일 * 6 = 540일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다시 VM을 설치하시면 다시 평가 기간이 시작됩니다.
- Wine을 이용해서 원하는 윈도우즈 앱을 사용하시는 방법도 있는데 그리 효과적인 것 같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