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커스터마이징 배포판

Ubuntu Korea Communit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사용자 커스터마이징 배포판이란?[편집]

우분투는 개인의 취향에 맞게 배포가 되고있으며, 지금도 아래의 유명한 배포판이 있다.

종류 및 다운로드[편집]

Ubuntu flavours[편집]

우분투 공식 변형 배포판으로 우분투 배포 일정에 맞춰 비슷한 날에 출시되며, 우분투와 동일한 소프트웨어 저장소를 사용함.

Kubuntu(쿠분투)[편집]

GNOME 대신 KDE Plasma 를 사용, 화려하다.

Xubuntu(주분투)[편집]

GNOME 대신 Xfce를 사용, Xfce 데스크탑 인터페이스가 가벼워, 저사양에 적합하다.

Lubuntu(루분투)[편집]

GNOME 대신 LXDE를 사용, Xubuntu 의 Xfce 처럼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Ubuntu Budgie(우분투 버지)[편집]

GNOME 대신 GNOME 스택을 기반으로 개발된 Budgie Desktop 사용.

Ubuntu Mate(우분투 마테)[편집]

GNOME(3.x+) 대신 GNOME 2 를 기반으로 개발된 Mate 를 사용함.

Ubuntu Studio(우분투 스튜디오)[편집]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에 특화된 버전의 우분투.

Ubuntu Kylin(우분투 기린)[편집]

중국인 사용자들을 위해 변형된 버전의 우분투, GNOME 대신 UKUI 라는 Ubuntu Kylin 을 위해 개발된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 중국인들이 많이 쓰는 프로그램도 설치되어 있음.


Linux Mint[편집]

리눅스 민트(Linux Mint): 우분투를 기반으로 더 사용하기 편한 패키지 관리를 제공하는 배포판. 우분투가 유니티로 삽질하던 시절에 민트가 더 인기를 끌던 날도있었다.

GNOME 2.x 기반으로 개발된 Mate 를 기본으로 제공하는 버전과, GNOME 3.x 를 기반으로 개발된 Cinnamon 을 기본으로 제공하는 버전이 있다.

Elementary OS[편집]

윈도우와 맥 OS를 대신하는 빠른 오픈소스 운영체제(공식 홈페이지의 소개) Mac OS 와 유사한 모양의 인터페이스인 Pantheon 을 기본 데스크톱 환경으로 제공.

Cobuntu[편집]

코분투: 한국 실정에 맞게 우분투 최신 배포판을 세팅한 배포판. 거의 차이가 없으나 한글 설정, 사전 등의 차이가 있다. 관리는 한국 우분투 사용자 모임에서 한다.
12.04 버전 이후로 배포가 중단되었다.

Ubuntu JE[편집]

ElementaryOS JKP Edition (주소 : http://blog.daum.net/bagjunggyu/203)[편집]

Linux Mint JKP Edition (주소 : http://blog.daum.net/bagjunggyu/202)[편집]

Photobuntu (주소 : http://gopang.tistory.com/category/Photobuntu%20Linux)[편집]

  • 우분투 18.04 LTS를 기본으로 만들어진 배포판
  • 깔끔한 사용자 환경과 한국 사용자에 맞는 한글 환경 제공
  • 2018/12/02까지 모든 업데이트 적용

Studynux[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