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QnA

Ubuntu Korea Communit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이 문서는 비등록 사용자의 편집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1. 본 문서는 https://www.facebook.com/groups/ubuntu.ko 에서 해결된 주요 질문들을 요약 했습니다.
  2. 2014년 8월 이전의 페이스북 게시물은 존재하지않는 관계로 기록이 없습니다.
  3. ctrl+F 키로 자신이 원하는 주제를 찾아도 되며 아래 목차를 누르셔도 됩니다.
  4. 2015년 5월 20일부터는 http://ask.ubuntu-kr.org/ 이곳에 질문을 올려주시기바랍니다.

페이스북 QnA[편집]

리눅스 자동실행 유무[편집]

  • Q : 윈도우의 경우 cd 삽입시 자동실행이 가능한걸로 압니다. 리눅스의 경우도 자동실행이 가능할까요?
  • A : 예전에 레드햇이던가 autorun.sh 파일인가를 실행하는 그런 시도를 한 적이 있었는데 쓸 데는 없는데 비해 보안 헛점이 되서 사라졌죠. 기술적으로는 별것 아닙니다만, 합의된 게 없고 그다지 필요도 없어 보입니다.

cat과 touch 차이점[편집]

  • Q : cat 이랑 touch랑 둘다 차이가 뭔가요? 둘다 기능이 똑같은건가요?

sudo 뜻[편집]

  • Q : sudo가 뭐예요?
  • A : sudo는 우분투에서 최고관리자로 명하노라 이런뜻입니다. 즉 루트가 명령을 내린다 이뜻입니다.

ext4 to ntfs[편집]

  • Q : /dev/sds7 에 /home가 ext4로 포멧 되어있는데 이것을 ntfs로 하면 윈도에 있는 것이나 리눅스민트에 있는 것이나 같이 저장 할 수가 있습니까?
  • A : 넵 가능합니다. 같은 용도라면 NTFS 보다는 FAT계열을 추천합니다.
  • A : 권한 관리가 어려우니까 /home을 전체를 ntfs로 하는 것은 위험할 것 같구요.

사내 도메인[편집]

  • Q : 윈도우에서 첨부한 그림과 같이 설정하고, 다른 컴퓨터에서 nslookup을 하면 아래와 같이 동작합니다.

$ nslookup msjang-vm-win.ㅁㅁㅁㅁ.com Server: 10.0.0.5 Address: 10.0.0.5#53 Name: msjang-vm-win.ㅁㅁㅁㅁ.com Address: 10.0.2.15 리눅스 PC도 사내 도메인을 얻게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A : 클라이언트 (리눅스) 측에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내 컴퓨터들이 가리키는 내부 DNS에서 지정하는 것입니다. 사내 DNS 관리자에게 얘기를 하시면 될 겁니다.

우분투 부팅 불가[편집]

  • Q : 제 우분투가 갑자기 맛이 가버렸어요..ㅠㅠ

커널 버전 3.13.0-34-generic으로 부팅을 하면 usb 마우스, usb 외장하드가 안되고 해상도도 800x600말고는 안되네요.. 그래서 부팅 했는데 GRUB에서 3.13.0-32-generic 버전 이하로 부팅하면 또 잘되네요.. 우분투 버전은 14.04입니다.

  • A : 저도 14.10에서 비슷한 현상이 있어서 오늘 밀었ㅜㅜ

virtualbox 삭제[편집]

  • Q : virtualboxdebian방식으로 우분투 14.04 LTS에 설치했는데 버전이 높아서 삭제하고 다시 설치 하려고 했더니 우분투 소프트웨서 센터에서는 설치만 나오고 삭제는 안 나오고 터미널에서 삭제를 실행해도 계속 살아 있고 삭제가 안되네요. 혹시 이런 경우 삭제를 해 보신분 계신가요?
  • A : purge로 삭제하니 잘 되네요

에로엘을 우분투에 설치하기[편집]

  • Q : 근데 제가 북미섭 롤을 엄청 빠져서 하거든요

근데 우분투에선 하는방법이 없나요?? 12.4 버전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분투 lol로 검색하니 첫번째로 나오네요. 심지어 네이버에서도 첫번째로 나옵니다. without wine은 아쉽게도 없는것 같군요..

locale 문제[편집]

  • Q : 현재 쿠분투 14.04를 사용 중에 있습니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제 컴퓨터의 로케일이 이상해 진 것 같습니다. locale 명령어로 확인해 보니 en_KR.UTF-8이라는 로케일이 나타나는데 뭔가 잘못된 느낌이 듭니다. 그리고 로케일과 관련된 에러 메시지도 보입니다. 다음은 locale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입니다.

<source lang="bash"> locale: Cannot set LC_CTYPE to default locale: No such file or directory locale: Cannot set LC_MESSAGES to default locale: No such file or directory locale: Cannot set LC_ALL to default locale: No such file or directory LANG=en_KR.UTF-8 LANGUAGE=en:ko:en LC_CTYPE="en_KR.UTF-8" LC_NUMERIC=en_KR.UTF-8 LC_TIME=en_KR.UTF-8 LC_COLLATE="en_KR.UTF-8" LC_MONETARY=en_KR.UTF-8 LC_MESSAGES="en_KR.UTF-8" LC_PAPER=en_KR.UTF-8 LC_NAME=en_KR.UTF-8 LC_ADDRESS=en_KR.UTF-8 LC_TELEPHONE=en_KR.UTF-8 LC_MEASUREMENT=en_KR.UTF-8 LC_IDENTIFICATION=en_KR.UTF-8 LC_ALL= </source> 입력기는 ibus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로케일을 확인하게 된 이유는 리브레오피스 4.3에서 한글 입력이 잘 되지 않아서입니다. 혹시 뭐가 잘 못되었는 지 알 수 있을까요? 위의 로케일 문제만 수정하면 리브레오피스에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지의 여부도 알고 싶습니다.

  • A : 위의 문제는 일단 .bashrc 파일에 아래 명령어들을 추가해서 해결했습니다.

<source lang="bash"> export LANGUAGE=ko_KR.UTF-8 export LANG=ko_KR.UTF-8 export LC_ALL="ko_KR.UTF-8" </source> 하지만 리브레오피스에서 한글 입력은 여전히 안되는 군요. 한글 붙여넣기는 되는데 입력이 안되니 답답합니다.

fsck[편집]

  • Q : 허허 멀쩡한 btrfs 파일시스템에다가 fsck한번 때렸다가 오히려 더 뻑났네요 ㅎㅎ...

<source lang="bash"> [ 365.905974] BTRFS info (device sdb1): turning off barriers [ 365.905987] BTRFS info (device sdb1): setting nodatasum [ 365.905989] BTRFS info (device sdb1): setting nodatacow, compression disabled [ 365.905991] BTRFS info (device sdb1): disk space caching is enabled [ 365.907985] parent transid verify failed on 29392896 wanted 21806 found 21817 [ 365.908111] parent transid verify failed on 29392896 wanted 21806 found 21817 [ 365.920757] BTRFS: open_ctree failed </source> 몇 시간째 구글링하고 있는데, 방법 없을까요..ㅠㅠ

  • A : btrfsfck 돌리다가 생긴 문제인가요? 아래 사이트 참고해 보시길...

http://unix.stackexchange.com/.../32440/how-do-i-fix-btrfs

DB tool GUI[편집]

  • A : 넵 가능합니다.. 스크립트 언어 류가 쉽긴합니다.. python, ruby같은...

리눅스 시퀸서[편집]

primary to logical[편집]

  • Q : 여러분 중 혹시 Primary Partition을 Logical Partition 으로 변경해보신분 계신가요? 물론 포맷 이외의 방법으로요.

우분투 xbmx[편집]

  • A : 우분투에서 XBMC 됩니다. 다만, 생각보다 윈도우나 다른 포터블 기기들 등을 이용해서 하시는 것보다 조금 버벅거리실수도 있습니다. 우분투 바탕화면에 Unity 때문에 3D 효과도 약간 있고, 그래픽 가속 지원이 잘 되지가 않습니다.

그래도 영화 시청하시는 데에는 문제는 없으실 겁니다. 저라면 그냥 우분투에서 가벼운 플레이어들을 설치하시는걸 추천드리지만, 눈호강을 원하신다면 XBMC 에서 실행 하시는 것도 추천 드립다. b

우분투에서 노트북 고유기능[편집]

  • Q : 노트북에서 우분투 킬 때마다 화면밝기 최대,

키보드 백라이트 최대, 블루투스가 켜지는데요. 이거 어떻게 하는 방법이 없을까요??ㅠㅜ 우분투 버전은 14.04 64bit입니다.

  • A : 노트북 자체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만으로 설정가능한 노트북들이 있습니다... ;;; 이럴 경우 windows에 다시 가셔서 해당 소프트웨어로 설정하셔야 합니다.
  • A : 백라이트는 모르겠지만, 블루투스의 같은 경우 대부분 메인보드 CMOS 에서 켜고 끌 수 있습니다. 부팅시 F1 혹은 Delete키 (메인보드에 따라 다릅니다.) 를 눌러 설정을 해보세요.
  • A : 노트북의 전원쪽 문제는 데스크탑과 달리 제조사별로 전원 최적화 작업이 들어가기 때문에 제조사별로 해결 방법이 천차만별이고 전용 드라이버를 사용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깨진 패키지[편집]

  • Q : 깨진 패키지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저장소를 갱신해봐도 계속 깨진 상태네요.
  • A : 일주일이고 열흘이고 기다려보시면 해결됩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f install

웹에서 activex쓰지않고 pdf 인쇄[편집]

  • Q : 웹 상에서 active-x를 쓰지 않고 pdf파일을 다운 받지는 못 하고 '인쇄'만 할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이 있을까요...??
  • A : 서버측에서 인쇄하는 경우라면 가능하겠지만 클라이언트에서 인쇄할 경우 인쇄데이터를 어떤식으로든 전달해야하고 특히나 pdf같은 경우는 크롬처럼 브라우저가 플러그인으로 지원해야 할 것 같네요

우분투에서 exe[편집]

리눅스 웹서버 트래픽 툴[편집]

몰리는 트래픽양을 간략하고 깔끔하게 정리해서 보여주는 툴같은게있을까요?

  • A : iptraf, iftop 은 어떤지요?
  • A : Wang MRTG 사용해 봤는데 나름 괜찮더군요. 추가로 공부 더 하시면 서버 모니터링 구축도 가능합니다
  • A : vnstat
  • A : 시각적인 걸 원하시면 gltail 추천합니다.
  • A : ntop
  • A : cacti

hwp? doc?[편집]

  • Q : 궁금한점 하나 올리겠습니다.

혹시 일하시면서 문서를 교환하는 작업이 많으실텐데 우분투를 사용하면 hwp가 안되고 doc같은 경우도 가끔 깨지더리구요... 이 문제를 해결할수있는 방법은 와인말고 다른방법은 없을까요?

  • A : 각 상용 프로그램들이 새판 나오면 또다시 문제의 반복입니다. 형식화 문서는 마크업 위주로 자료를 운영하는게 좋습니다. HTML, troff, docbook, latex 유형 중 하나로 바꾸세요. 기록된지 20년이 지난 문서도 변함없이 잘 보여집니다. 몇년전에 (외국에서만) 유행이었던 기술인 검색도 텍스트 파일 검색이 기본이며, 그래픽도 svg 등 마크업으로 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습니다. posix 방식으로 사용방법이 비슷하더라도 상용유닉스를 비롯 BSD, 리눅스까지 유형이 다양하기 때문에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텍스트로만 주고받는게 미래를 위해서 좋습니다. 요새 hwpepub를 생성시켜 준다는데 그 회사가 epub 생성기능을 만들어 줄때까지 기다려야 하는건 아닌 것입니다.

윈도우 cmd 접속[편집]

  • Q : 주기적으로 우분투에서 윈도우즈 컴퓨터에 접속해서 배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고하는데 윈도우즈 cmd모드로 접속하려면 어떤 툴을 이용해야할까요?

윈도우즈에서 ubuntu로 가는건 putty 쓰면 될텐데 말이죠... 배치 파일만 실행시킬건데 rdesktop으로 해야 하나요?

  • A : Cygwin을 통하여 ssh서버를 올려보시는것은 어떠하신가요

우분투 외장하드 안전제거[편집]

  • A : 저도 처음에는 불이 안 꺼져서 ㅋㅋ 이상했는데.. 마운트 해제한 다음에 그냥 빼면 됩니다. ^^

fork와 exec 차이[편집]

  • Q : forkexec 의 차이 좀 설명해 주세요.]
  • A : exec는 현재 프로세스를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replacement 하는 거고, fork는 동일한 프로세스를 새롭게 생성하는 거.

fork 된 프로세스들은 독립된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공유되지 않음. 쉽게말해 execpid가 변경되지 않고, fork 는 새로운 pid를 가짐.

컴피즈 오류[편집]

설정이 꼬여버려서.. 유니티 대쉬보드 좌측 상단 메뉴 모두 안보이게 되었는데요.. 구글에서 검색해서 초기화를 아무리해도 해결되지 않더라구요..방법이 있을까요?14.04.1 버전입니다..

  • A : UnityCompiz를 사용하고 있는데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보니 플러그인이 한번 충돌해버리면 방법이 없습니다. 되도록 Unity에서 컴피즈 설정은 변경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ㅠㅠ

문서 작업 툴[편집]

  • Q : 주로 문서 작업에 어떤 툴을 쓰시나요?

업데이트중 강제종료[편집]

  • Q : 제가 우분투 버전 업데이트하는중에 전원을 꺼버렸어요. 그뒤로 무한 로그인 증상이 나타나네요. 그래서 lightdm 말고 다른거 설치해봤는데 그건 또 아무것도 안보이고ㅜ.ㅜ 지금 현재 usb가없어서 우분투 재설치도 못하고 복구모드들어가서 패키지 다시해주는거 선택해봤는데 반응도없고ㅜㅜ 어떻게해야할까요 고수님들 ㅜ.ㅜ
  • A : 바이너리 설치중에 생긴 문제라서 그냥 재설치하는게 속편합니다. 혹시나 복구모드 상태에서 sudo do-release-upgrade 명령을 입력해 보면 될지도 모릅니다. 이건 원래 커맨드라인으로 설치한 컴퓨터에서 배포판 업그레이드 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우분투 NASM[편집]

  • Q : 우분투 환경에서 어셈블리 언어를 연습하기 위해서는 어떤 프로그램이 필요한가요? 우분투 기반의 NASM이란 것이 있을까요? 우분투 기반에서 어셈블리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 이름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분투 크롬 한글[편집]

  • Q : 혹시 우분투 Chrome에서 한글폰트 깨져서 ㅁ로 나오는 분 계십니까?

chrome://flags 들어가서 Directwrite도 찾아보려고 하고 했고 폰트도 건드려봤는데 변화가 없네요.

  • A : /usr/share/fonts 권한 설정 확인해보셨나요? 또는 한글 폰트들 ie) nanum , unfonts-core 들이 있나도 확인해보세요

리눅스 회원DB 솔루션[편집]

동아리원들의 복지(?)와 소속감 증대를 위해 동아리 계정의 메일을 제공하려 하는데요

메일을 위한 계정을 추가할 시 xwindow 에 로그인이 되는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쉘은 /bin/false 로 잡아서 ssh접속은 안됩니다.)

혹시 해결방법 (:= 로그인을 막는 방법)이 있을까요??

  • A : 회원 db를 따로 관리하는 솔루션들이 얼마든지 있습니다만.. 그냥 live메일이나 naver works같은 공짜로 얼마든지 쓸수있는 것들을 쓰는게 정신건강에 좋을것같습니다

가상머신 한영키[편집]

  • Q : 안녕하세요. 우분투 12.04 데스크탑 사용자입니다.

VirtualBox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불가피하게 우분투를 깔아야하는 사정이 있었는 데, 아무래도 카카오톡PC버전이나 멜론 등등을 원할하게 사용하려고 하다보니 윈도우를 찾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VirtualBox윈도우7을 설치하였습니다.

그런데, 윈도우7내에서 한/영키나 window키를 누르면 virtualBox 밖에서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합니다.

window키를 누르면, 윈도우의 시작버튼이 눌림과 동시에 우분투의 작업표시줄도 활성화되서 계속 번거롭게 그 창을 끄고있네요. 혹시 해결방안을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 A : 키보드 잡기가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로 보이네요. 버박 환경설정 > 입력 > 자동으로 키보드 잡기 부분을 활성화해보시기 바랍니다.

프린트 서버 구축 CUP[편집]

  • Q : 프린터 서버를 구축하려 합니다.

내부 망에서 도는 서버가 될거구요 중요한건 계정 시스템을 두어서 계정당 인증을 거치고 인쇄가 가능해야하며 그 기록들이 남아서 한달에 한번 간격으로 과금을 매길 예정인데요

CUPS를 찾아보니 그러한 기능이 제공 되지 않는 듯 합니다.

혹시 인쇄 시스템을 구축해보신 선배분들이 계신다면 조언을 구해봅니다 정 안된다면 그냥 서버가 아니고 프린터 옆의 PC를 제공한뒤 거기서 인증을 거쳐서 해도 되는데 이것도 어떻게 해야할지 잘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복사기나 프린터에 직원 카드를 찍으면(인증) 인쇄가 가능한 그런 시스템을 원합니다)

  • A : CUPS가 설치되어 있으면 http://localhost:631에 접속할 수 있군요. Jobs 탭에서 printing history가 사용자별로 나오네요. 물론 사용자 설정은 SAMBA 같은 것으로 별개로 해야할 것 같구요. 원격에서 프린터 서비스 어드민 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아래 url 참고하시구요.

http://thismightbehelpful.blogspot.kr/.../remote-access...

rsync[편집]

  • Q : rsync 질문 하나만 해도될까요? -r 옵션이 recursive옵션이라고 나와있는데 r옵션 안붙여도 이미 recursive로 되고 있는데 옵션의 존재이유를 잘 ㅁ르겠네요.

rsync -avz 와 rsync -avzr 의 복사된 결과가 같습니다. 둘다 하위디렉토리까지 다 복사되구요. 제가 뭘 잘못알고있는걸까요?

a 옵션 때문인것 같군요. -a, --archive archive mode; equals -rlptgoD (no -H,-A,-X)

우분투 pdf 편집기[편집]

우분투에서 괜찮은 pdf 편집기는 뭐가 있나요..? 메모나 하리라이팅 주석 등을 편하게 할 수 있는 툴이요..

의존성 오류[편집]

  • Q : 예전에도 이런적이 있어서 설치를 못했던 기억이있는데요.

다시 설치하려고했더니 에러가 나는데 이런경우 어떻게 해결할수있을까요?

다음 패키지가 충족할 수 없는 의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source lang="bash"> vlc: Depends: vlc-nox 2.1.4-0ubuntu14.04.1) 하지만 2.1.4+git20140722+r54557+19+11~ubuntu14.04.1은(는) 설치했습니다 Depends: libc6 (>= 2.15) 하지만 2.19-0ubuntu6.3은(는) 설치했습니다 Depends: libfreetype6 (>= 2.2.1) 하지만 2.5.2-1ubuntu2.2은(는) 설치했습니다 Depends: libgcc1 (>= 1:4.1.1) 하지만 1:4.9.1-0ubuntu1은(는) 설치했습니다 Depends: libqtcore4 (>= 4:4.8.0) 하지만 4:4.8.5+git192-g085f851+dfsg-2ubuntu4은(는) 설치했습니다 Depends: libqtgui4 (>= 4:4.8.0) 하지만 4:4.8.5+git192-g085f851+dfsg-2ubuntu4은(는) 설치했습니다 Depends: libstdc++6 (>= 4.6) 하지만 4.8.2-19ubuntu1은(는) 설치했습니다 Depends: zlib1g (>= 1:1.2.3.3) 하지만 1:1.2.8.dfsg-1ubuntu1은(는) 설치했습니다 </source>

  • A : 의존성 에러입니다. 터미널에서 sudo apt-get update 를 해보신 다음에 다시 설치해보시거나 설치하시려는 패키지가 14.04 용 패키지가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백트랙 서적 추천[편집]

  • Q : 백트랙에 관하여 공부를 좀 하고싶은데

학생이 보기 좋은 서적이 어떤게 있을까요?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이 책 추천드립니다

추천 프로그래밍 언어[편집]

  • Q : 특별한 목적이 있는 것은 아니고...프로그래밍 언어를 하나 배워보고 싶은데..

추천해주세요..대부분 c를 추천해주시던데.. 암튼 어떤 언어이던지...초보자에게 좋은 책이과 함께..추천부탁드립니다.

  • A : 입문자에게 C를 권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나중에 다른 언어를 배우더라도 진입 장벽이나 배우는데 크게 막힘이 없다는 것입니다. C언어의 기본만 익혀도 다른 언어 배울 때의 거리감이나 막히는 느낌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일하면서 배우는거 아니면 조금씩 해보면서도 기능구현이 쉬운걸로 해야 진도가 나가지 c는 독학으로는 진도 나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멀티부팅[편집]

디스크1(SSD120G) = 윈도우80G+페도라40G 로 설치를 완료하였습니다. 문제는 디스크2번입니다. 구성은 아래와 같이 할예정입니다. 디스크2(HDD750) = 윈도우용D드라이브(200G) + 리눅스용(200G) + 공용(350G)를 잡으려고합니다. 350G파티션에는 동영상 파일이나 iso 파일같은 공유할수 있는 파일을 넣으려고 합니다. 공용(350G)를 윈도우에서 NTFS형태로 포맷하니 리눅스에서도 잘 보이긴 하는데...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을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리눅스에서 엑세스 할려면 root 권한이 필요하다고 매번 나오네요. 아예 그래서 리눅스에서 root유저를 사용할까 싶기도 하고요 ㅋㅋ 혹시 비슷한 구성을 사용하시거나 멀티부팅에 더 좋은 파티셔닝 방법이 있으시면 조언좀 부탁드려요~

  • A : 권한 문제인데 일반 사용자는 각자의 홈 디렉토리만 전속관할입니다. fstab 파일에서 mount point 지정해볼 수 있습니다. 홈디렉토리 하부의 디렉토리나 아니면 홈디렉토리 자체가 해당 파티션을 마운트 하도록... 윈도우 파티션도 우분투에서 자동 마운트 안될걸요. 디스크별로 운영체제를 따로 설치하는게 낫습니다.

스왑파티션[편집]

  • Q : 리눅스의 파티션은 주, 확장, 논리로 나뉜다고 배웠습니다.

설치 시 최소 네이티브(루트)파티션과 스왑파티션으로 나뉜다는데... 루트 파티션은 주와 논리에 설정이 될 수 있는 것 같은데. 스왑파티션으로 잡아주는 부분은 그럼 어느 파티션 부분에 할당되는지 궁금합니다...

  • A : 리눅스 파티션이 그런것이 아니라 해당 시스템에서 파티션을 주파티션과 논리파티션으로 구별하는것이예요 리눅스에세 루트스왑은 사용상 어느 파티션에도 위치할수 있으니 주파티션이나 논리파티션이냐 하는 그러한 구별은 의미가 없어요

리눅스 원격데스크탑[편집]

이런 문구가 뜨면서 접속이 되질 않습니다. 사용한 명령어는 sudo apt install xfce4 xrdp ssh --yes echo xfce4-session > ~/.xsession 후 접속했더니 이런 문구가 뜹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루트 비밀번호 찾기[편집]

  • Q : 루트비밀번호가 기억이 안나는데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는건가요...ㅎ
  • A : 부팅시 grub에서 kernel 이미지 선택 한 후 에디트 모드에서 single 모드로 바꾼 후 부팅한뒤 비번 재설정 하시면 됩니다.

파일시스템 존재 이유[편집]

  • Q : 요즘 리눅스를 공부하고있습니다. 근데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또 이 파일시스템 종류들 중 ext 와 minix ,xia ntfs와 fat 등과같은 파일시스템을 골라서 download? 받아 사용하는 이유가뭔가요? 리눅스나 윈도우 설치 후 원래 있는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면 안되는건가요?

  • A : 운영체제론 같은 책을 보시면 명쾌하게 궁금증이 풀리겠지만 간단하게 말해 단순 저장공간인 HDD에 어떻게 파일을 저장하고 탐색하는지에 대한 기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각각의 파일시스템별로 차이가 좀 있지만 기본 원리는 저장과 접근에 대한 것이죠. 모든 기법이 그렇듯 과거의 기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가령 리눅스에서의 저널링 같은 것들이 추가되고 발전되고 그래서 여러 파일시스템이 혼재하게 된 것입니다. 파일은 쓰고 지우고 하다보면 단편화가 생기고 이를 막아야 성능이 나빠지지 않죠. 그런 것들에 대한 이론이 파일시스템이라고 설명드릴께요.

안정적인 우분투 버전[편집]

  • Q : 안녕하세요. Ubuntu를 처음으로 설치하여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특별한 목적은 없구요. 그냥 일반 PC 이용하듯 사용할 목적입니다. 안정적인 버전으로 설치 버전 추천 부탁드립니다.
  • A : 안정적인 거면 아무래도 lts 쪽이 나을 거 같아요

cent os? 우분투?[편집]

  • Q : 리눅스에 댜한 공부를 미루다가 다음주부터 리눅스 공부를 할 예정인데 CentOS우분투 둘중에 어떠한 OS를 사용해야 할까요? 웹서버와 네트워크도 같이하고 있어서 조언을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 A : 현업에는 아무래도 레드햇계열인 CentOS를 많이 쓰고 있습니다

viber 한글 타이핑[편집]

제가 viber를 사용중인데 이번에 우분투에다 리눅스용 viber설치를 하니 다 잘돼는데 한글이 타이핑이 안됌니다. ㅠㅠ 한글을 사용할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분명 viber홈피에서 우분투에서 된다 해서 설치 했는데 ㅠㅠ 한글 사용이...... ㅠㅠ

  • A : 한글 입력기가 Qt-5 와 관련된 버그가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은 아무런 한글 입력기도 이 버그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그래도 한 번 uim 을 이용해 보세요 sudo apt-get install uim uim-byeoru uim 설청 하실때 "벼루"를 꼭 지정해 주셔야 합니다.

넷북 저사양 리눅스[편집]

  • Q : 넷북에서 저사양으로 잘 돌아가는 리눅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넷북사양은 아톰 n270, 램 2G, 해상도 1024x600 입니다.
  • A : lubuntu도 괜찮습니다. 저도 지금 6년된 램 1기가 짜리 넷북에서 돌리고 있는데 무리 없이 잘됩니다.

fcitx 오류[편집]

  • Q : fcitx 에서 왜 input method가 하나도 나오지 않을까요?
  • A : sudo apt-get install fcitx fcitx-hangul --reinstall

우분투 음성 편집기[편집]

  • Q : 우분투에서 쓸만한 음성파일 편집기가 있나요?

버추얼 박스 확장팩[편집]

  • Q : 우분투를 메인 운영체제로 쓰는 오랜 목표를 실현하고 있는데,

여러가지 문제가 발목을 잡네요. 뱅킹 및 여러가지 문제때문에 윈도우를 완전히 벗어날 수 없어 한성컴퓨터 X54K 노트북을 나름 거액을 주고 사서 Ubuntu 10.04 LTS 에 Virtual Box 를 설치하고 윈도우7을 설치해서 사용하는데, 가장 큰 문제가 USB 가 인식이 안 됩니다. 몇 일 간 낑낑대서 버츄얼박스 확장팩을 설치하면 될 것 같은데, 확장팩이 우분투소프트웨어센터를 통해 설치한 버젼과 안 맞고, 지금 여기에서 막혔습니다. 도움 좀 주세요. 아울러, 윈도우실행시 실행화면 디스플레이크기를 키울 수 있는 방법과 버츄얼박스의 제어키가 오른쪽 Ctrl 키인데 변경할 방법도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맥에서 웹서버 화면공유[편집]

  • Q : 한가지 문의 드릴것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제가 지난번 웹서버(아파치2 + PHP + MySQL)로 웹서버를 구축하였습니다. 연습용으로요 근데 화면 공유로 웹서버를 제 맥북에서 원격제어 하고 싶습니다. vnc로 제어 하고 싶은데 멕에서는 vnc가 기본으로 내장돼어 있지만 우분투에선 설치를 해주고 설정을 해줘야 화면공유 원격제어가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원격으로 화면 제어 하면서 웹서버를 제어 할수 있을까요? 웹서버를 우분투서버가 아닌 우분투데스크탑으로 설치를 해서 gui환경이어서 그대로 화면 공유로 제어를 하고 싶어서요 인터넷을 찾어 보고 구글님한테 물어봐도 답변이 시원치가 않습니다 ㅠㅠ 몇번을 해봤는데요 실패 ㅠㅠ 어떻게 해야 하나요?

  • A : 우분투에도 화면공유가 기본으로 포함되어있습니다. 영문 기준으로, 좌측 맨 위의 우분투 아이콘을 눌러서 Desktop sharing이라고 검색하시면 프로그램이 하나 나오는데요, 거기서 Sharing(공유) 항목에 채크하시고, Security(보안) 항목에서 비밀번호 항목만 설정하시면 접속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제 생각엔 아마 맥에서 쓰는 VNC가 프로토콜이 좀 다를 겁니다. 매버릭스 전까진 같았던 것 같은데 언제부턴가 달라진 것 같더라구요. 일단 해보시구요, 안되면 그냥 Teamviewer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라고 권해드립니다. 오히려 그게 더 속편하실 것 같네요.

wifi 아이콘 실종[편집]

  • Q : 안녕하세요 우분투한국사용자모임 맴버 여러분

우분투 12.04 LTS 기반인 Elementary OS LUNA 버전을 사용중 질문드릴것이 있습니다. 유선랜을 쓰던중 어느세부턴가 저의 Elementary OS LUNA 버전에서 상단바에 wifi 아이콘이 사라졌고, 유선랜이 언플러그되면 무선랜설정창이나 상단바에 wifi 아이콘이 뜨질않아 AP설정이 안되는 상황입니다. wireless-tools 패키지는 설치되어있는것같은데, 해결방법좀 알고싶습니다.

  • A : 제 경우에는 이런 비슷한 일이 있었는데

넷북 Dell Mini Inspiron 10 이구요 luna를 설치하자 마자 무선랜 카드 Broadcom을 설치하면 설치되고, 그후에 xserver-xorg-lts-trusty 로 업그레이드를 해서 커널이 3.13으로 업그레이드 되도 작동하지만, 반대로, 3.2 커널에서 Broadcom을 설치하지 않고, 곧바로 xserver-xorg-lts-trusty 로 업그레이드 해서 커널도 3.13으로 업그레이드 되면, Broadcom이 설치되 않더군요 그래서 무선 인터넷이 안되더군요, 부랴부랴 다시 커널을 낮춰서 시도해 봐도 그때는 도 안되구요 그래서 꼭, 설치하자 마자 바로 하드웨어 추가를 해서 무선인터넷 장비의 드라이버를 먼저 설치하고 커널을 업그레이드 한답니다.

웹브라우저 캐시 원리[편집]

  • Q : 웹브라우져의 cache 작동 원리가 어떤건가요? 그전에 방문했던 사이트의 내용을 하드에 저장했다가 재 방문 시 다시 인터넷으로 받지 않고 하드에 보관되었던 내용을 화면에 보여 주는 것으로 대충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사이트의 일부 내용만 바뀌었다면 바뀐 내용만 다시 받고 나머지는 하드에 보관된 것을 이용하게 되는지요? 아니면 전체 내용을 다시 다운 받아 보여주나요? 그것도 아니고 캐시에 보관된 사이트를 다시 방문하면 변경 여부 체크하지 않고 무조건 캐시에 있는 내용만을 보여주게 되는지요?

그리고 profile-sync-daemon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램에 캐시 등을 저장하고 하드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기화 시켜서 빠른 속도를 보장할 수 있다 하던데 실제로도 효과가 있는지요? 캐시를 램디스크에만 저장하는 방법은 컴을 껐다 키면 그 전의 캐시가 몽땅 날라 가 버려서 하드에 저장하는 것보다도 오히려 효과가 떨어질 수 있는데 이 프로그램으로 그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 같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뚜렷하게 인터넷 로딩 속도가 빨라지는지요? 효과 있을 것 같기도 하고.. 하드도 인터넷보단 훨씬 빠르기 땜에 하드 캐시나 램 캐시나 그게 그거일 것도 같고요..

  • A : 알고계신대로 동작하는게 일반적인 브라우저 캐싱 방식입니다. 첨언하자면 브라우저에서 캐시되어있는 사이트에 접속시 캐시된 내용중 마지막 변경일자를 서버쪽으로 보내주면 서버에서도 그날짜 이후로 변경된 내용이 없다면 HTTP STATUS CODE로 304(Not Modify)를 보내줍니다. 그러면 변경된 내용이 없으므로 브라우저는 더이상 요청을 보내지 않고 캐시된 내용으로 뿌려주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그러면 한 페이지를 구성하는 컨텐츠중에 수십개의 이미지와 내용들이 있을텐데 변경된경우는 전체를 요청하는지 아니면 변경된놈만 요청하는지에 대한 부분은 HTTP를 이해하신다면 쉽게 알수 있을텐데요.. 어차피 한페이지를 구성하는 모든 컨텐츠는 개별요청으로 처리됩니다. 즉 한 페이지안에 10개의 이미지가 있다면 브라우저는 서버쪽으로 10개의 이미지를 각각 요청하여 총 11번(본문포함) 요청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각각에 따라 STATUS CODE가 따로 리턴되므로 일반적으로 이미지 같은 것들은 한번 캐시된 경우엔 거의 변경되지 않으므로 재전송을 하지 않는다고 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자에 들어서는 인터넷의 속도가 너무 빨라 캐시라는게 사실상 무의미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어느정도 실력이 되는 분들같은경우는 대부분 브라우저의 캐시 기능을 끄거나 용량을 아주 작게 잡아서 사용하시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디스크에서 읽어들이는 속도보다 인터넷으로 전송받는게 더 빠른게 현실이니까요..

멀티키 한영전환[편집]

  • Q : 14.10에서 멀티키를 사용하여 입력기전환을 가능토록 했는데 전환만 되고 한글은 입력되지 않네요. 뭘 빼먹은거 같은데 도움 좀 부탁드립니다 ㅠㅠ
  • A : 저는 uim 벼루 설치해서 해결했어요.

가상머신 32bit 생성[편집]

  • Q : VirtualBoxWindows 8.1에 설치했는데 새로 VM을 만들어서 Linux를 설치하려고 하니 64bit는 안되고 32bit만 나오네요. 다른 PC나 Mac에서는 괜찮았는데 왜 이러는 걸까요?

텔레그램 문제[편집]

크롬에서 Telegram을 확장 기능으로 설치했는데 작동이 안됩니다. 14.04나, 14.10이 제 노트북에서 문제(마우스 인식 불가 외 대수)를 발생시켜 13.10으로 회귀했는데 telegram이 문제이군요 해결책은 없을까요?

  • A : 텔레그램웹으로 쓰는 것도 괜찮아요.

우분투 외장하드 인식[편집]

  • Q : 혹 우분투에서 간헐적으로 eSata 하드디스크가(iptime 3035s 외장하드) 인식이 안되는 경우에 대한 정보가 있으신 분 있나요?
  • A  : 가끔씩 eSATA가 풀리는거 같습니다. 누가 옆에서 건들여도 쉽게 풀리고...그래서 하드는 '네이티브'가 제일 좋다는 것을 배웠죠. 혹, 서버에 연결해 쓰신다면 플러그가 이탈될 경우를 대비하여 스크립트를 통한 마운트도 요긴하실 것입니다.

D드라이브 복구[편집]

  • Q : C, D로 나눠진 하드에 C에 우분투 설치하다,,,

C, D파티션을 통합하고 설치된것 같아요,,, 혹시 D파티션 복구할 방법 없을까요?? 파티션 삭제된것(재생성 안된것) 복구는 많은데,,이건 못찾겠네요,, 여행 사진이 좀 있어서,,아쉽네요..

  • A : D는 살아지지 않았습니다. 처음 C에 우분투 설치하면서 D를 읽어들일 이름을 설정했어야 했는데 안해서 그렇습니다. 보통은 /dos로 이름을 설정하는데 안하셨군요. 우분투소프트웨어센터 에서 gparted 를 찾아 까신 뒤에 xterm에서 sudo gparted 로 불러내면 D가 보일겁니다. 이 것에 이름을 줄 수 있는지 보시기 바랍니다. 아니면 다시 까시면서 D를 읽어낼 이름을 설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데이터베이스, SSL, 방화벽[편집]

더하여, 여기에 SSL과 방화벽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A : ssl은 설치 기준이 아마 사용자들의 정보를 저장해야 할때는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테스트 용도라면 크게 구애받지 않으셔도 될듯 하구요. 톰캣, PHP를 함께 사용할 필요가 없다면 하나만 선택하셔도 될듯 합니다만... 방화벽 역시 테스트 용도나 임시 프로젝트의 용도라면 크게 선택하지 않으셔도 될듯하고, 무작위의 ssh접속시도나 ftp접속시도만 fail2ban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막아주시면 될듯합니다.

우분투 설치옵션 실수[편집]

  • Q : 컴퓨터를 새로 사서, 세컨컴에 우분투를 설치하려했는데 우분투가 저의 소중한 백업용 파티션을 날려먹었습니다..(정확힌 제가 날려먹은 거겠지만요ㅠ)

세컨컴은 아예 우분투로 하려고, 현재 깔린 운영체제와 공존을 하는 것이 아닌 우분투를 통째OS 로 쓰는 것을 클릭해버렸습니다.. C:\ 파티션만 밀어버리는 줄 알았는데... 뭔가 쌔~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그래서 다음작업에서 바로 취소를 누르고, 파티션 확인해보니...역시나 모든 파티션을 밀어버리고 한개의 단일 파티션으로 만들어버렸네요.. 이미 파티션을 만들어버린 애매한 상태이지만 지금 파티션복구프로그램과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을 돌리곤 있습니다만.. 뭔가 명안이 없을까요? 무척 당황스럽네요ㅠㅠ.. 누나연구자료와 사진들이 있어서... 컴퓨터 제돈으로 사고도 혼남*100 예상하고있습니다.제길슨 ㅠㅠ

  • A : 일단 그룹내를 파티션으로 검색해봤는데, 몇일전에 저와 비슷한 현상을 겪으신 분이 계시군요.. 하지만 저는 새로 파티션까지 만들어져버린 상황인것같습니다.ㅠㅠ 난감.. 일단 여기서나온 설명대로 프로그램 받아서 윈도우에서 돌리는 중입니다. http://snoopybox.co.kr/1438

그놈 버그 리포팅[편집]

  • Q : 그놈 버그는 어케 어디다 리포팅 해야 하나요? 제가 스스로 수정할 능력은 안되서요.. ㄷㄷ

mask 뜻[편집]

  • Q : 데몬한테 퍼미션주는데 Mask라는 애한테 퍼미션을 주는건 뭔가요? Mask가 쓰기 될때까지 트렌스미션은 쓰기 퍼미션을 못 갖더군요.
  • A : MASK 는 계정이 아닙니다. MASK는 각 계정의 파일과 디렉토리가 가지게 되는 default 권한과 같은 겁니다.

메모장으로 rstudio열기[편집]

텍스트 파일로 만들어서 그것을 윈도우로 사용하고자 해서 문장들이 있고 그것을 sep="\r\n"해서 개행을 했는데요 그걸 윈도우에서 메모장으로 보니까 (그니까 문장1\r\n문장2\r\n 식으로...) 개행은 안되고 ascii에서 0x0a에 해당하는 아스키 기호가 출력되더라구요... 이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ㅜㅜ

  • A : 윈도우 메모장말고 notepad++같은 다른 메모장에서는 잘보이실거에요

nas 구성 추천[편집]

  • Q : 제가 자금이 40만원 정도있는데 자작 nas를 구성하려합니다

조립 nas + 공유기가 30만원 정도이고 조립 nas + SSD 를 추가구성하여 레이드 컨트롤러까지 45만원 정도 입니다 어느게 집에서만 홈서버 굴리면서 잘 가지고 놀수있을까요?

  • A : 완성품의경우엔 아이피타임과 시놀로지 두개 다 써본 감상으로는 시놀로지가 소프트웨어 지원이 훨씬 더 빵빵합니다. 툴들도 정말 좋구요.

하지만 가격이 제정신이 아니라... 토렌트 머신, 동영상 스트리밍용 정도 용도만 생각하신다면 아이피타임도 상당히 괜찮은 선택입니다. 소프트웨어도 계속해서 업데이트 해주고 있구요. SSD는 굳이 필요할것 같지 않습니다. 네트워크 대역폭이 하드디스크 대역폭보다 작거니와, 응답시간 역시 하드디스크 접근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에 메리트가 전혀 없다고 보셔도 될것 같습니다.

노트북 우분투 추천[편집]

  • Q : 외장하드에 우분투를 설치하고 필요시 우분투로 부팅시키려 합니다.

노트북은 윈도우가 기본적으로 깔려있고, 바이오스에서 USB를 최상위 옵션으로 올려 외장하드를 꽂으면 부팅이 우분투로 되게 설정하는게 목표입니다. 하지만 우분투 버전을 정하려던 중에 우분투 리눅스는 처음 사용해보는 터라 버전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혹시 추천해주실 만한 우분투 버전이 있으신지요?

  • A : 최신버전의 LTS로 받는것이 자주 안갈아엎어도 되어서 편한것 같습니다.

아스키코드 import[편집]

  • Q : R studio나 R commander에서 엑셀 등 자료 파일을 import할때 자료에 euc-kr이나 cp949 인코딩의 한글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읽어들이지를 못하는것 같은데 (utf-8유니코드는 잘 읽어 들이고요.) euc-kr이나 cp-949의 자료를 바로 import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요?
  • A : 아스키 코드라는 약속에 위해서 저장된 파일을 아스키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이라고 하고, 아스키 코드가 아닌 특정한(특정 소프트웨어에서 정의된) 형식에 의해서 저장된 파일을 바이너리 파일이라고 합니다. 워드, ppt, spss, jpg, mp3 이런 파일들은 모두 바이너리 파일입니다. iconv 유틸리티는 바이너리 파일이 어떤 규칙에 위해서 저장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변환이 불가능한 것입니다.

동영상 편집기 추천[편집]

  • Q : iMovie를 대체할 동영상 편집기를 찾고있습니다. 찾아보니 openshot이 유명한것 같은데 뭐가 좋을까요? 블렌더에서도 영상편집이 가능하다고는 합니다만... 추천좀 해주세요!
  • A : 전 Kdenlive로 충분해서 그거만 쓰고 있습니다.

우분투 한글 타이핑[편집]

  • Q : 우분투 14.10 에서 한글이 써지질 않습니다 ㅜㅜ

원래 14.04 를 설치한 후, 한글이 타이핑되는 것을 확인한 후에 바로 14.10 으로 업그레이드 옵션에 체크후 설치를 했습니다. 설치 완료 후에 버전이 올라간 것을 확인하고 한글을 써보니 갑자기 되질 않습니다... ibus의 아이콘은 한글로 바뀌는데 나오는 건 영어로 나오게 되네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 A : uim 설치해보세요

sudo apt-get install uim uim-byeoru 설정은 이 동영상을 참고해보세요 http://www.youtube.com/watch?v=q9QntqhecSk...

멀티부팅 준비[편집]

  • Q : 데스크탑이 물리적으로 2개의 hdd가달려잇어 각각 한개씩 리눅스윈도우를 깔려합니다 윈도우를 먼저깔고 우분투를 나중에깔라는데 따로세세한파티션작업 해야할게혹시뭐잇나요? 그냥 따로따로설치하면되는건가요?
  • A : 리눅스 다음으로 윈도우를 설치하면 윈도우가 부트 로더까지 밀어버려서 리눅스로 부팅이 안됩니다. 윈도우 설치후 리눅스 설치하세용

우분투 키보드 호환[편집]

제 키보드는 레오폴트 750입니다. 한영키와 알트키가 같이있는데 한영키를 누를때마다 알트키도 같이 눌려서 말썽입니다.. 이걸 어떻게 할까요?

  • A : 그건 아마도 우측 알트키가 우분투hud기능으로 할당돼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기계식 키보드는 대체로 한영키가 우측 알트키를 대신해서 쓰이죠) 우분투의 경우엔 설정-키보드로 들어가서 해당되는 키를 다른 키로 바꾸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픽 카드 구별[편집]

  • Q : 질문이요~

00:02.0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3rd Gen Core processor Graphics Controller (rev 09) 01:00.0 Display controller: Advanced Micro Devices, Inc. [AMD/ATI] Venus XT [Radeon HD 8870M] (rev ff)

  • A : 첫번째는 인텔사의 3세대 cpu의 sandy bridge 내장 VGA(인텔사의 CPU는 VGA가 같이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AMD의 노트북용 외장 비디오 카드요

GRUB 인식 불가[편집]

  • Q : 며칠동안 씨름했지만 도무지 알아내지 못해서 질문드려요 ㅠㅠ

윈도우즈 8.1과 우분투 14.04 멀티부팅으로 사용중이었는데요 bcdedit 에서 shimx64.efi를 로드해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shimx64를 로드하지않고 바로 윈도우로 부팅되어버립니다 {bootmgr}설정을 무시하고 윈도우부팅로더를 읽어버리는걸까요? 어떤 해결책이 있을까요?

웹서버 계정[편집]

  • Q : 어제 우분투아파치톰캣, PHP, MySQL을 설치해서 웹서버를 구축했습니다. 문제는 주 계정의 홈 디렉토리는 이상이 없는데 adduser로 생성된 계정이 원래는 http://localhost/~계정명 으로 정상적용되야하는데 500에러가 나고 있네요... 이건 무슨 에러일까요? 참고로 아파치 mods부분의 2개파일은 available에서 enabled로 복사를 마친상태입니다. 각 계정별 홈디렉토리에서 public_html을 ftp에서 권한설정없이 그냥 생성 후에 바로 html 파일을 넣으면 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 A : 전 데비안 사용중이라 우분투도 마찬가지인지 모르겠는데 아마도 기본값이 userdir 모듈이 활성화 안되어있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a2enmod userdir 로 먼저 모듈 활성화를 해주셔야 할겁니다..

우분투 이미지 처리툴[편집]

  • Q : 혹시 우분투포토샵 같은 이미지 처리 툴이 있을까요? 있으면 뭐가 좋을까요?
  • A : GIMP가 가장 많이 쓰이는 것 같더라구요. 저도 써봤는데 나쁘지 않았습니다 무료 소프트웨어이구요

우분투 파이썬 ide 추천[편집]

우분투 서버 커널 동일 여부[편집]

예전엔 달랐던 것 같은데.. 언제부터 같아졌나..

  • A : 12.04부터 같아졌습니다.

서버용 커널 linux-image-server이 linux-image-generic에 합쳐지면서 같아졌습니다. server와 desktop의 차이는... desktop에는 설치되어 있는 X, gnome, kde 같은 것이 server에 설치되어 있지 않는 대신 apache2와 같은 패키지가 들어 있습니다.

usb mtp[편집]

  • Q : 우분투에서 안드로이드폰에 음악 복사하실때 어떻게 하세요? 매번 USB로(mtp설치했음) 연결하기가 귀찮은데, WiFi File Transfer라는 1500원짜리 유료앱을 써봤는데, m4u파일이 누락이 되네요... 앱이 이상한건지 모르겠네요. WiFi로 제대로(누락없이) 복사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폰에서 FTP서버를 돌려야 하나요?
  • A : smb client로 하니까 편하네요!

유니티 심볼릭 링크[편집]

유니티의 어플리케이션 바에 심볼릭 링크를 걸어서 추가하고 싶은데, 어느 경로로 넣어야 어플리케이션 바에 연결이 될까요?

  • A : /usr/share/applications/이나 ~/.local/share/applications/ 경로에다 .desktop파일을 만들면 대쉬보드에 아이콘이 생성되는데, 저는 그걸 런쳐에 끌어다 쓰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desktop 만들때 사용되는 파일형식은 검색 해보시면 쉽게 찾으실수 있을겁니다.

프린트 서버 닫기[편집]

  • Q : 오늘 netstat -lnp 명령어 치고 포트 확인해보니 제 기억으론 열어둔 적이 없는 포트가 개방되어 있더라구요, 631포트에 데몬 이름이 cupsd입니다. 찾아보니 프린터 관련된 데몬 같은데, 프린터를 사용하지 않는 터라 따로 설정 따윈 해두지 않았습니다. 질문의 요지는, 그냥 죽이거나 막아버려도 괜찮겠죠?
  • A :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전혀 안쓰실 거라면" 죽이거나 막아버려도 괜찮습니다.

http://sosnote.com/.../%ED%94%84%EB%A6%B0%ED%84%B0-%EB%8D...

비글보드 인터넷[편집]

  • Q : 혹시 우분투를 이용하여 비글보드를 사용해 보신 분이 있으신가요?^^ 우분투가 Host OS, 비글보드에 linux를 guest os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guest os는 Host 시스템과 Ethernet(cross-cable)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비글보드에서는 인터넷이 되지 않는 상태인데, 비글보드가 Ethernet케이블로도 연결이 되면서 인터넷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나요?
  • A : 매스커레이딩 해주시고 dhcp 걸어주시면 됩니다.

mv와 드래그드롭 차이[편집]

  • Q : mv드래그&드롭을 활용한 파일 이동에서 왜 mv는 시간이 걸리지않고 드래그&드롭은 왜 시간이 걸리는지 아시는분 계시나요? 둘다 하는 동작은 같을텐데요...?
  • A : mv 한 다음의 결과를 읽어서 (파일시스템 변경내용 스캔해서) UI에 반영하기 위해서 자료구조를 조작하는 일을 추가로 더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와인 설치[편집]

  • Q : 와인 어떻게 설치하죠?
  • A : 소프트웨어 센터 가셔도 설치하실 수 있고, 터미널을 여신 후 sudo apt-get install wine 을 입력하셔도 됩니다.

우분투 이미지 다운[편집]

  • Q : 우분투 14.04 버전을 다운받으려고 하는데 공식 페이지에서 받으려니 너무 느리네요 ㅠ 혹시 조금 빠르게 다운받을 수 있는 곳이 없을까요??

스왑파티션 필요성[편집]

  • Q : 스왑 파티션에 대해 궁금한게..

(히버네이션 기능에 스왑이 필요하단것하고, 램이 스왑보다 훨씬 빠르단 것 말고..) 램 4기가에 스왑파티션 없는 경우하고.. 램 2기가에 스왑 2기가인 경우하고.. 차이가 았는것인지요?

  • A : swap이 꼭 필요한 것 중 생각나는게 oracle이 있네요. 가상머신들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곤 물리적 메모리가 많은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잠시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서 swap을 쓰고나면 바로 반환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도 이유가 있는거죠. 그만큼 swap이 느립니다. 그래서 ssd에 또는 메모리에 swap을 만드는 기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우분투 센드메일 설치[편집]

  • Q : 아래와 같이 우분투 14.04 환경에서 센드메일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apt-get install sendmail 그런데 구글 등에서 그 다음 설정을 보려고 검색해도 마땅한 문서가 없는 듯합니다. 우분투 14.04 환경에서 센드메일을 설치하고 설정하는 과정을 소개한 괜찮은 사이트가 있다면 소개 부탁 드릴 수 있을까요?

  • A : debian 계열 sendmail은 참 쓰기 편하게 스크립트가 잘되어 있습니다. 특별히 버전차이에서 오는 큰 설정변화가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debian sendmail howto를 검색해보셔도 될겁니다.

터미널 현재시간[편집]

  • Q : root@root:~#

위의 부분을 현재 시간이 나오도록 하고 싶습니다. 즉 root@metasploitable 부분 대신 현재 시간을 나오도록 설정했으면 합니다. 일전에 이 부분을 변경하는 내용을 본 적이 있는데 어떤 검색어를 입력해 구글에서 검색이 가능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질문 올립니다. 어디 파일에서 어떻게 변경하면 가능할까요?

  • A :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blog.saltfactory.net/99

우분투 초보 한글 설정[편집]

  • Q : 처음으로 우분투를 깔았습니다. 처음부터 막히네요. 한영전환은 어떻게하는건가요.;
  • A : 우분투는 한국어로 설치하시면 기본적으로 ibus 설치 되어 있는 것 으로 알고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ibus-setup 을 입력하시고 그곳에서 입력 방식과 전환 키 등등. .을 설정 하시고 재부팅 한번 해주시면 될 겁니다.

인터넷 불능에서 툴 설치[편집]

  • Q :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usb를 통해 ubuntu에 필요한 툴들을 가져가서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dependency가 있는 패키지들은 deb하나만 받는다고 해결이 안될 거 같은데.... 인터넷이 안되는 환경에서 (보안문제..) 오로지 usb와 dvd를 들고가서 개발환경을 만들어야되는데, apt-get을 사용할 수 없으니까 간단한 build-essential이나 vim, ncurses 등도 설치해야 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막막하네요...

hp 스트림 우분투 설치[편집]

  • Q : HP 스트림이 가격이 저렴해 보여서 구매해서 우분투를 설치해 쓰려고 하는데...

혹시 설치 되는지 알수 있을까요??

  • A : 당연히 설치 됩니다. 윈도우스 8.1이면 그 것을 지우고 까시면 됩니다. 램을 확장하시고

특정 이더넷장치 접속[편집]

  • Q : route 명령어를 이용해서 특정 사이트는 특정 이더넷 장치로만 통신이 되게 하려고 아래와 같이 했습니다.

$ route add -host 사이트IP주소 dev eth0 그런데 이렇게 하고나니까 해당 사이트는 아예 접속이 안되더라구요. 이렇게 하면 될거라고 생각했는데 제가 잘못 이해를 한 것 같습니다. 어떻게 해야 특정 사이트는 특정 이더넷 장치로만 접속 할 수 있을까요?

우분투 백업[편집]

  • Q : 혹시 리눅스 물리 서버에 설치된 모든 내역을 그대로 이미지로 만들어주는 그런 솔루션이 있나요? 예전의 고스트 처럼? 서버에 테스트로 환경을 만들어 놨는데 다시 만들기가 여간 귀찮은게 아니라서 이미지처럼 만들어 놓고 나중에 그냥 한번에 복구(=설치)해서 다시 사용하고 싶은데요. 이게 가능한 솔루션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운영체제는 기본으로 설치된 상황에서 복구(?)하는 형태의 솔루션일 것 같은데, 아무것도 설치되지 않은 서버에 복구하는 솔루션도 있을까요?

  • A : Clonezilla가 답입니다 ^^

심볼릭 링크 루프[편집]

  • Q : 리눅스 시스템의 전체 파일 및 폴더를 탐색하여 각 파일별 정보를 출력해주는 코드를 짜고고 있는데요..

폴더를 가르키고 있는 링크 파일 때문에 루프가 발생하네요... 언어는 java로 짜고 있는데.. 혹시 루프를 피하기 위한 방법 있으면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드로이드 커널 빌드 시간[편집]

  • Q : 우분투 커널 빌드 시간 보통 얼마나 걸리시나요?? 제가 주로 안드로이드 ARM 커널을 빌드해왔는데 커널 크기가 작아서 그런지 코어2쿼드 8GB에서 -j8 옵션으로 30분 안걸렸던 것 같은데, x86환경에서 우분투 커널 빌드는 오랜만에 하거든요.. 하스웰 i7 4790 16GB 메모리에서 30분이 넘어가고 있네요... 컴파일이 언제 끝나련지.. make-kpkg를 이용하여 빌드하였고 CONCURRENCY_LEVEL은 16을 주었습니다. (병렬 컴파일은 되는 것 같긴하던데.. 원래 이렇게 오래 걸리나요?? 포럼 검색해보니 1시간~2시간 정도 걸린다고들은 하던데 옛날 글들이라..)
  • A : 얼마나 많은 모듈을 넣어 컴파일 하느냐가 관건인데 보통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으면 "쓸데없이" 오래걸립니다. lspci를 쓰든 dmidecode를 쓰든 어떤 방법으로든 까서 보드에 달린걸 싹 조사하고 달려있는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드라이버를 싹 빼면 10분도 채 안걸릴수도 있습니다.

서버 포트 우회[편집]

  • Q : 외부 서버와의 터미널 작업, samba마운트, ftp접속등을 하다보면 이따금씩 포트가 막힐때가 있습니다. (통신사에서 막는 것인지...)

때문에 포트를 우회를 해야 할 경우가 생기는데, 과연 로컬(제가 접속한 위치)에서 외부서버와의 망 사이에 사용가능한 포트가 무엇인지 리스트를 작성하듯 체크를 하고 싶어지네요. 서버 한대를 DMZ로 박아버리고 포트 전체를 열어버린 뒤에 로컬에서 체크를 하여 이 중 어느 포트로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스크립을 구현하려 합니다. 1. expect와 telnet으로 열리는 포트가 무엇인지 체크하는 쉘스크립을 짤 수는 있습니다. 2. 서버에서의 포트 전체를 열어버리는 방법은 모릅니다. 3. 이와 관련하여 혹 기존에 사용하는 도구가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 A : netstat를 통해서 포트 LISTEN을 확인해보거나,

Ubuntu라면 ufw, CentOS라면 iptables 별도로 설정 혹은 사용 안함으로 하시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네요

우분투 작업패널 투명도[편집]

  • Q : 우분투에서 작업패널 투명하게 못하나요?
  • A : Ubuntu tweak 설치하신 후에 tweak 탭으로 들어가면 unity 메뉴 있는데 거기서 opacity를 0로 조절하면 되요~

메일서버 프로토콜[편집]

  • Q : postfix 메일서버를 사용하고 있는데요,pop3을 통해서 받는 건되는데 메일 보내기는 안되네요...보내기를 하면 554 5.7.1 (메일주소): Relay access denied 이런식으로 오는데, 어디서 문제인지를 모르겠네여.. main.cf가 문제인지 해결방법좀 알려주세요 ㅠㅠ

<source lang="bash">

  1. Debian specific: Specifying a file name will cause the first
  2. line of that file to be used as the name. The Debian default
  3. is /etc/mailname.

‪#‎myorigin‬ = /etc/mailname

smtpd_banner = $myhostname ESMTP $mail_name (Ubuntu) biff = no

  1. appending .domain is the MUA's job.

append_dot_mydomain = no

  1. Uncomment the next line to generate "delayed mail" warnings

‪#‎delay_warning_time‬ = 4h

readme_directory = no

  1. TLS parameters

smtpd_tls_cert_file = /etc/ssl/certs/smtpd.crt smtpd_tls_key_file = /etc/ssl/private/smtpd.key smtpd_use_tls= yes smtpd_tls_session_cache_database = btree:${data_directory}/smtpd_scache smtp_tls_session_cache_database = btree:${data_directory}/smtp_scache

  1. See /usr/share/doc/postfix/TLS_README.gz in the postfix-doc package for
  2. information on enabling SSL in the smtp client.

myhostname = 제 호스트.. alias_maps = hash:/etc/aliases alias_database = hash:/etc/aliases myorigin = /etc/mailname mydestination = 제 호스트.. mynetworks = 127.0.0.0/8 [::ffff:127.0.0.0]/104 [::1]/128 mailbox_command = mailbox_size_limit = 0 recipient_delimiter = + inet_interfaces = all inet_protocols = all home_mailbox = Maildir/ relayhost = smtpd_sasl_local_domain = smtpd_sasl_auth_enable = yes smtpd_sasl_security_options = noanonymous broken_sasl_auth_clients = yes smtpd_recipient_restrictions = permit_sasl_authenticated permit_mynetworks reject_unauth_destination smtp_tls_security_level = may smtpd_tls_security_level = may smtpd_tls_auth_only = no smtp_tls_note_starttls_offer = yes smtpd_tls_CAfile = /etc/ssl/certs/cacert.pem smtpd_tls_loglevel = 3 smtpd_tls_received_header = yes smtpd_tls_session_cache_timeout = 3600s tls_random_source = dev:/dev/urandom </source> 이렇게 셋팅 되있써여...main.cf파일입니다.

  • A : 외부로 메일을 전송하실 떄에는 인증과정이 필요합니다. 자세한 부분은 SMTP 프로토콜 규격을 보시면 됩니다.

우분투 아이콘 실종[편집]

  • Q : 안녕하세요. 제가 어제 우분투를 설치한 뒤 이것저것 만지다보니까 화면 위 상태 바에 시간과 배터리, 그 외 기타등등 아이콘이 사라져 버렸어요;; 윈도우만 쓰다가 우분투를 설치해서 관련 정보를 찾아봐도 도무지 무슨 소린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그 외에 현재 ibus를 이용해서 한글키를 치고 있는데 가끔씩 커서가 이상한 곳에 찍히면서, 윗줄에 글자가 기입되거나 하는 증상이 있는데 여기에 대해서도 여쭙고 싶어요 ㅠㅠ
  • A : 패널에서 Alt + 윈도키 +오른 클릭 하신 다음에,"패널에 추가"를 클릭하셔서 알림영역 애플릿,시간 애플릿등을 추가해보시면 패널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13.10 openjdk[편집]

  • Q : apt-get remove --purge openjdk*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java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y oracle-java8-installer eclipse eclipse-platform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E: oracle-java8-installer 패키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주분투 13.10 환경을 사용 중입니다. 위에서와 같이 구글 검색을 통해 자바 설치 과정을 확인해 순서대로 설정했는데 오류가 뜹니다. 검색한 내용 그대로 따라서 했을 뿐인데 왜 저는 오류가 뜰까요? 저장소를 잘못 설정했나요?

우분투 vsftpd[편집]

  • Q : Windows에서 FTP 서버를 운영할 때 파일질라 FTP 서버 클라이언트를 이용해서 각 계정별로 접근하는 최상위 루트를 따로 설정했었는데요.

(ex. username-a > /etc/program, username-b > /var/www)

우분투에서는 "vsftpd"라는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면 된다, 라고 설명을 들어서 여러가지 설정을 만졌지만 이 프로그램에서는 위의 파일질라 같은 설정을 하는 방법을 찾기가 어렵더라구요.

아주 전에는 아예 Wine 위에다가 파일질라 FTP 서버 클라이언트를 설치해서 하는 무식한(!) 방법으로 했지만 뭔 짓을 하던 포트가 안열려서 포기했었는데, 우분투에서도 각 계정별로 계정별로 최상위 루트를 따로 설정할 수 있는 FTP 클라이언트나 vsftpd에서도 사용 할 수 있는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고 싶은데, 듀토리얼 페이지가 있을까요?

  • A : FTP 전용으로 사용할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서 홈디렉토리를 원하는 경로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 로그인 셸은 /bin/false로 설정하면 되구요.

우분투 의존성 패키지[편집]

  • Q : 우분투 의존성 패키지 설치관련 질문입니다.

우분투 시스템에 설치되어있는 DEB 파일들을 모두 모아 USB로 복사하여 우분투 apt-get 저장소로 만들고, sources.list 파일을 수정하여 apt-get update시 USB를 참조하도록 변경하였습니다. 이후에 해당 패키지를 모두 설치하는 (sudo dpkg -i *.deb) 명령어로 설치를 진행하였는데 의존성 패키지 문제로 인해 전체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의존성 문제가 일어난 패키지를 따로 설치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패키지 설치순위가 맞지 않아 일어난 현상으로 보이는데요. 어떻게 해야 순위를 바로잡을 수 있을까요? 아니면 다른 원인이나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요약 : 커스텀 저장소에 있는 데비안 패키지를 의존성 패키지 문제없이 한방에 설치하고싶습니다!! ㅠ

  • A : 일단 dpkg -i *.deb 하시고나서 apt-get install -f 하시면 됩니다.

CPU/DRAM 정보보기[편집]

  • Q : 노트북 PC에 우분투 계열을 설치했습니다. 노트북 PC에서 사용하는 CPU/DRAM 정보를 보고 싶은데 어디를 확인하면 가능할까요? 갑자기 확인해 보려니깐 막막해지네요.
  • A :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sysinfo 설치하시면 gui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분투 가상화 작업[편집]

  • Q : ubuntu 에 kvm을 설치한 후 가상화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virt-manager에서 확인해 보니 Hypervisor가 QEMU로 나와 있습니다. 전가상화를 쓰고 싶기 때문에 KVM을 설치하고 싶은데 KVM을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어떻게 되려나요?

  • A : 이 자료 참고해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virt-manager의 hypervisor에 qemu로 나와서 qemu인줄 알았는데 kvm이란 hw-accel 기능일 뿐이며 기본 베이스는 qemu위에서 돌아가게 되어 있네요 qemu 구동 후 kvm이 수행될 수 있는 경우 hw accl이 수행되어 전가상화 모드로 수행되게 되어집니다.(ps -ef 를 해보면 accel=kvm이 보이네요) 각 vm마다 다르게 설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virt-manager에서 보이는 hypervisor가 아닌 vm의 overview에 있는 내용이 정확합니다. (이거 땜시 4시간을 헤맷네요 기존 vmware와 hyper-v와 다른점인듯)

ssh 접근 차단[편집]

  • Q : 리눅스에서 SSH 쉘접근 사용자중 일반 VSFTP처럼 자기 디렉토리외의 이동을 원천적으로 막을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우분투에서 사용자가 SSH로그인 후 본인의 홈디렉토리외에 다른 계정의 홈으로도 이동이 가능한데.. 파일을 변경하거나 하진 못해도 적어도 안에 뭐가 있는지 알게되므로.. 아예 못들어가게 하고 싶은데..

  • A : chroot가 답인 듯합니다.

우분투 파티션 축소[편집]

  • Q : 오랜만에 우분투를 설치 했는데 윈도우 파티션이 다 날라갔습니다.

그래서 질문 하나 드립니다. 하드에 올 우분투로 깔려 있는데요, 우분투 용량을 축소하고 윈도우 파티션만 따로 생성 못하는 것인가요? 언마운트가 되어야 뭘 하든 할건데, 어차피 현재 부팅된 상태에서는 언마운트도 안될 것이고요...

  • A : gparted 추천합니다

ssh 설정[편집]

  • Q : 초보적 질문 남깁니다. 명령어를 하나하나 배워가는 중입니다.

사용자를 추가하였는데, ssh 접속하였을 때 보여지는 쉘 화면이 조금 다릅니다;; 쉘은 똑같이 bash 설정이 되어 있는데.. 파일 속성별로 색 구분 짓는것도 없고.. 명령어 단축(?) 같은 거도 적용이 안되네요;

  • A : ~/.bashrc 파일은 각각의 사용자 자신에게만 적용되는 설정파일입니다. 다른 유저는 다른 홈 디렉터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유저의 .bashrc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모든 사용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설정을 하고 싶으시면 루트 권한으로 /etc/bash.bashrc 파일에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http://superuser.com/.../whats-the-difference-between-etc... 참고하세요~

Masquerading?[편집]

  • Q : iptime공유기 웹 인터페이스 설정처럼, 한 컴퓨터가 라우팅 중이면서 그 컴퓨터 자체가 로컬 네트워크에 속하도록 하는 설정을 뭐라고 하나요?

netstat 명령어[편집]

  • Q : 우분투에서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는데 있어 TCP 방식으로 외부와 ESTABLISHED 상태인 것만 보고 싶다면 어떻게 설정하면 가능할까요? 감사합니다.
  • A : netstat -an | grep ESTABLISHED

가상 채팅 서비스[편집]

  • Q : unreal_ircd 개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UnrealIRCd is an open source IRC daemon, originally based on DreamForge, and is available for Unix-like operating systems and Windows."라고 나오는데 일종의 가상 채팅 서비스란 의미인가요? 감이 안 오네요.
  • A : IRC 서버 데몬인 듯합니다; Internet Relay Chat이라고 굉장히 유명한(?) 채팅 프로토콜이죠.

리눅스 파티션 조정[편집]

  • Q : 현재 모든 디스크 용량을 리눅스에 할당했는데 리눅스를 지우지않고 윈도우를 설치 할 수 있을까요?
  • A : 멀티부팅 얘기시라면 1) 혹시 모르니 데이터 백업 2) gparted 라이브CD로 부팅 3) 파티션 용량 조절로 공간 확보 4) 빈 공간에 윈도우 설치

atheros ar928x[편집]

  • Q : 안녕하세요. 제가 몆일전에 구닥다리 삼보 넷북을 어디서 얻었습니다.

사양은 아톰 n270, gma950, 리얼텍 alc888, 리얼텍 rtl8139-810x, 퀄컴 atheros ar928x 인 넷북에서 우분투계열 리눅스를 설치하니까 무선랜이 작동을 안합니다... 혹시 비슷한 사양에서 무선랜 해결하신분있나요?

http://askubuntu.com/.../drivers-for-wifi-card-atheros...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874097 순서는 아래에서 위로 보세요.

스왑 필요성[편집]

  • Q : 스왑 관련해서 어떤 경험과 의견을 가지고 계신지 궁금하네요. 구글링하며 많은 포스팅을 봤는데, 역시 호불호가 분명하게 갈리네요.

스왑은 있으면 좋다, 꼭 설정해둬야 한다. 스왑은, 느린 디스크 속도로 인해 시스템 속도를 저하시킨다. ..등등 찬반을 주장하는 근거(?)들이 다양하네요. 저처럼 결정이 더딘 사람은 갈등만 쌓이는군요. ㅡ.ㅡ;; 스왑 사용 경험에 대해,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 A : 스왑은 꼭 설정해야 하고, 되도록 쓰지 말아야 하는 것이죠.

우분투 wol[편집]

  • Q : 우분투 14.04 서버에 트랜스미션 데몬을 설치하여 토렌트 머신으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필요할 때만 WOL로 켜서 사용하는데 문제는 켤 때 마다 트랜스미션 데몬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서비스 자체는 시작이 되는데 외부에서 접속을 할 수 없는 상태여서 꼭 서비스를 중지했다가 다시 시작해줘야 사용할 수 있게 되네요.. 혹시 비슷한 경우 겪으신분이나 해결법 아시는분 계신가요..

우분투 도커[편집]

  • Q : 윈도우에서 도커처럼 우분투를 가볍게 올려서 쓸 수 있는 무언가가 있었는데! 이름이 뭔가요?
  • A : cygwin

가상 nic[편집]

  • Q : 안녕하세요. 초보질물하나 드려요 ㅎㅎ

ip tuntap add mode tap eth2 명령으로 가상 nic 하나 만들어 쓰려는데, 서버 재부팅시에는 없어지더라구요 ㅎㅎ http://capsuleer.tistory.com/73 이런거 말구.. 혹시 tuntap으로 재부팅해도 없어지지 않게 생성하는 방법 없을까요?

3BON USB FaxModem 56K[편집]

팩스모뎀은 dev/ttyACM0에 설치된 것이 확인됩니다. 이 모뎀을 eFax-gtk로 사용하려고 하는데요. eFax를 실행하면 하단의 하단의 상태표시줄에 "Inactive"로 보입니다. 그래서 "Standby"를 실행하면 "efax-0.9a: 10:44:25 Error: can`t serial port /dev/ttyACM0: 허가 거부", "efax-0.9a: 10:44:25 finished - unrecoverable error" 이 두줄의 메시지가 출력되면서 여전히 "Inactive"상태입니다. 아시는 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 A : 허가거부 보니 권한이 없는것 같아요.

일단 루트로 서비스를 실행해 보세요.

우분투 올리디버거[편집]

  • Q : 프로그램을 역공학(리버싱)할 때 "올리디버거"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합니다. 그런데 올리디버거는 윈도우즈 환경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처럼 보입니다.

우분투 환경에서 "올리디버거"처럼 GUI 환경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있다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 : 리눅스에서 gui 환경의 디버깅을 사용한다면 DDD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우분투 ftp 권한[편집]

  • Q : 그저께 처음으로 우분투를 설치를했는데요. 최상위 폴더에 있는 var/www 폴더에 다른 컴퓨터의 ftp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일을 올렸는데 웹에서는 파일권한때문인지 보이지가 않습니다. 우분투가 설치된 컴퓨터에 들어가서 직접 index파일을 만들면 사이트 잘 보이는데. 이거 폴더 만들때마다 chmod 명령어를 직접 칠수도 없어서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하나요? Ftp에 있는 권한 설정은 안먹히는것 같고 구글링해도 원하는 답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도와주세요.

부팅시 멈춤[편집]

  • Q : 윈도우와 우분투 14.10 (32) 를 노트북에 GRUB 로 깔고 사용중이었습니다... 갑자기 오늘 노트북을 키는데 부팅화면에서 멈추더니, 한시간째 그대로 있기에 강종후 재부팅을 해보아도 똑같은 증상이 반복됩니다. 검색해서 나오는 결과대로

리커버리모드를 들어가서 목록들을 위에서 차례대로 해보았지만 정작 정상부팅때는 똑같은 상태입니다.. 윈도우는 정상적으로 부팅이 됩니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새 우분투를 깔고 거기에 제 원래 데이터를 그대로 옮길 수 있을까요? (설치한 프로그램 등) 여기서 다른 해결방안이 있을까요?

우분투 삼바[편집]

  • Q : 우분투 14.04에서 삼바를 구성했습니다. 윈도우즈에서 실행창을 실행한 뒤 IP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우분투에서 삼바를 이용해 공유한 디렉토리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우분투 14.04 IP 주소는 192.168.10.219이고 공유한 디렉토리는 tmp이고 익명 설정 상태입니다. 그런데 삼바 서버로 윈도우즈가 아닌 리눅스 계열에서도 GUI 환경이 아닌 CLI 환경에서도 접근이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명령어가 어떻게 되는지요?

  • A : 네 가능합니다..

http://danggi.tistory.com/.../%EB%A6%AC%EB%88%85%EC%8A%A4...

우분투 소리 안남[편집]

  • Q : 제가 우분투 데스크탑을 설치했는데 소리가 안나요...

우분투에 관한 지식이 100중 99가 없긴한데.. 열심히 검색해본결과 alsa우분투 사운드 드라이버같네요? 분명히 alsa 깔려있는거 아는데 아2015년 5월 9일 (토) 22:36 (KST)~무소리가 안납니다.... 구글링하면서 사운드 디바이스 목록 보는 명령어를 쳐보니 내장형 사운드카드 랑 외장 사운드 카드 모두 잡혀있습니다. 뭐가문제일까요?

  • A : alsamixer로 Mute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는 않은지, Master 출력 조정이 가능한지 확인해보세요. 없으면 alsa-utils(배포판마다 다르긴 하지만 아마 맞을 겁니다) 패키지를 설치해주시구요. 기본 장치에서 Master라는 항목이 없으면 F6을 눌러서 다른 사운드카드를 확인해보시고, 작동하는 사운드카드를 기본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우분투 빅데이터 한글[편집]

  • Q : 우분투환경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하려는데 txt파일의 한글이 다 깨져서 나오네요. 그래서 인터넷에서 찾아 LANG=C도 해보고 이것저것 해보다가 gksu rm /etc/fonts/conf.d/29-language-selector-ko-kr.conf 를 쳐보니

기존에 나오던것도 죄다 ???로 나오네요. 어찌하면 이것을 고치고, txt파일의 한글을 제대로 볼수 있을까요?

리눅스 테블릿[편집]

  • Q : 제가 곧 테블릿 피씨(j-tab m) 하나를 장만하려고 하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이 테블릿 피씨 안에다가 리눅스를 설치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리눅스 설치 이후에도 터치 작동이 잘 되는지 궁금합니다...

맥북 우분투[편집]

  • Q : 안녕하세요 우분투를 이제 배우는 대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맥북에 깔려고하는데 버추얼박스를 이용해서 까는게 좋나요..? 맥에서 까는거는 인터넷에 찾아보니 최근글은 안나와서... 염치없지만 부탁드립니다 ^^

  • A : 페러럴즈도 있고 버추얼박스를 이용하셔도 되십니다.

커멘드라인 프린트[편집]

  • Q : 커맨드라인에서 텍스트 파일을 프린터로 프린트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우분투 모뎀[편집]

  • Q : 혹시 우분투에서 동작하는 국내사업자의 4G 혹은 3G, USB 타입의 모뎀을 아시는분이 계신가요?
  • A : 노트북에서 LTE를 쓰고 싶은 목적이라면 Android USB Tethering 기능도 유용합니다. Google Nexus series는 Ubuntu에서 문제없이 동작합니다.

우분투 압축파일명[편집]

  • Q : 우분투를 main os 로 사용하시는 분들 중에 압축파일 풀때 한글파일명이 깨지는 현상을 해결하신 분 계신가요?

/etc/profile 에다 UNZIP 관련 설정을 인터넷에서 찾아서 적용해봐도 안되네요.

wine+반디집으로 푸는 게 제일 편할 것입니다.

파이썬 한글[편집]

  • Q : Python에서 한글 처리 곤란하지요?

보통 어떻게 해결을 하시는지요?

설치형 웹메일[편집]

  • Q : 설치형 웹메일 괜찮은거 아시는분?

iRedMail 이거 괜찮을까요?

  • A : 개인적으로는 zimbra 추천드립니다.

ia32-libs?[편집]

커널 버전 검색[편집]

  • Q : 구글에서 검색했을 때 커널버전을 확인하려면 uname을 이용할 때는 uname -r 로 알고있는데요.

터미널에서 uname -a을 입려했을 때는 uname -r 결과 값 : 3.16.0-31 가 커널 릴리즈 uname -v 결과 값 : 14.04.1~Ubuntu 이 커널 버전으로 나오는데 무엇이 맞는 걸까요..??

  • A : -a 는 모든 정보를 다 출력하는 부분입니다

-s 는 커널 이름이요 -r 은 커널 릴리즈입니다 -v 는 커널 버전입니다

안내음성[편집]

  • Q : Ubuntu 14.04 LTS 버전을 사용 중인데 갑자기인지 처음부터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계속해서 남자 기계음으로 안내음성이 나옵니다. 예를 들면 키보드로 글자만 쳐도 그것을 다 읽어주고 LAUNCHER ICON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WINDOW' 하고 읽어주는... 마치 시각장애인에게 안내해주려고 하는 듯이요. 이 소리를 어떻게 없애야 할까요? 검색해봐도 모르겠네요.
  • A : sudo apt-get --purge remove gnome-orca

Orca Screen Reader라고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사용중에 어떻하다 눌리셨나봐요. 일반인들은 사용할 일이 없으시니 삭제 하시고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우분투 민원발급[편집]

  • Q : 민원문서 발급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지금까지는 제 서버에 윈도우7 VM 하나 설치해 놓고 윈도우가 필요한 행정처리(등본 발급 등)를 했었는데 이번에 학위증명서와 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해서 발급받고 출력하려고 하니 RDP가 실행중이라면서 팅겨내거나 주민번호 입력이 안되더군요... 발생한 문제는 엔프로텍트 키가드가 주민번호 뒷자리를 치는걸 암호화하는데 RDP에서 입력을 막아버린 것과 오즈리포트에서 리모트툴이 실행중이라며 출력을 막아버리는 현상입니다. 삽질의 의욕이 매우 샘솟았으나 시간이 없어서 결국 윈도우 깔려있는 놋북을 꺼내서 처리하긴 했습니다만... 이런경우 여러분은 어떻게 해결하시나요?... 정녕 이제 윈도우 머신을 별도로 구축해야 하는 방법이 최선인가요...ㅠㅠ

  • A : Hid드라이버 짜서 뭔가 해주는게 아니라면 그냥 물리머신이 답인듯하더라구요

커널 버전 업데이트[편집]

  • Q : 제커널 버전이 좀 낮길래 우분투 14.04 서버에서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linux-generic-lts-trusty 이명령어로 커널을 업데이트 시켰는데 음.. 리부트 해도 커널 버젼이 안바뀌어 있더라구요 그래서 grub문제 인가 하고 update 해봤는데 이런 에러가 뜨는데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구글에 검색해도 비슷한 오류가 없어서 질문드려 봅니다

  • A : 그냥 kernel source를 받아서 sudo make menuconfig -> sudo make -j4 ->sudo make modules -> sudo make modules_install -> sudo make install 순으로 kernel upgrade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ㅎ

표준폴더 복구[편집]

  • Q : 실수로 지운 표준폴더 복구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캐시 파티션[편집]

  • Q : 파티션을 따로 안 나누었기에 tar로 시스템 백업을 home 과 home 제외로 나누어서 하는편인데요.

home 백업 할 때 보면 /home/user/.cache 가 1.5gb 정도 되던데 임시 캐쉬 파일이면 --exclude 해 주면 안 되나요? 설정 파일인가요?

우분투 파일 압축[편집]

  • Q : 제가 우분투에서 파일들을 압축을했는데

윈도우 환경에서는 압축한 파일들중 하나만 보이고 압축해제시에도 파일이 하나만 나옵니다.

하지만 다시 우분투환경에서 압축을 해제하면 원래의 파일 모두가 나옵니다. ..... 혹시 이런 경험 하신분들계신가요?

  • A : unix 계열과 윈도우 사이에선 흔한 증상입니다 파일 속성이 숨김으로 되어있어서 입니다 압축을 폴더채 풀고 숨김속성이나 시스템 속성을 모두 꺼주시면 됩니다

가상머신 마이커레이딩[편집]

  • Q : 질문이있어서 올립니다. VM웨어를 이용해서 우분투 환경에서 마스커레이딩을 구현해볼려고하는데 http://lifeseed.tistory.com/83 다음 페이지와 같은 설정을 하고 난후에 vm웨어에서 win xp로 접속을 어떻게 시도해야할지 모르겟습니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 : vmware 설정에서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NAT로 되어있을겁니다.

이렇게되면,접속이원활하지 않을수가 있기에 Bridge로 설정을 변경하시고 ping으로 확인해보세요. NAT/Bridge가 이해안가시면 네트워크 자료를 좀 보시는게 좋습니다.

우분투 자막 파일[편집]

  • Q : 우분투에 크롬설치해서 사용중입니다.

가끔 영화보려고 smi화일을 받으면 모두 한글이 깨지네요. 왜그럴까요??

  • A : Bomi 추천해요. 한국어 인코딩 잘 지원 합니다.

http://bomi-player.github.io/downloads.html

리눅스 비주얼 스튜디오[편집]

  • Q : linux desktop 기반에서 와인을 이용해 MS 비쥬얼 스튜디오 2013(express)을 구동 할 수 있을까요?
  • A : 윈도우에 msys2를 깔아서 비주얼 스튜디오 프로젝트를 손으로 컴파일하는 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더 좋을 듯싶네요; 최소한 툴체인을 구동시키는 단계부터 암 걸릴 듯한 기분이 들지는 않습니다 ㄷㄷ;

가상머신 하드[편집]

  • Q : VMware 구동 관련 질문하겠습니다.

지금 제가 하드디스크 두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C drive (주 디스크 / SSD 120GB / 윈도우 임베디드 8.1 설치) D drive (서브 하드 / HDD 500GB / 게임, 문서, 음악, 기타 유틸리티 백업용) 처음에 Vmware를 HDD에 설치 후 구동시키니 속도가 만족스럽지 못해서 SSD에 설치하려고 합니다(20GB정도 할당해서) 그런데 우분투 iso 파일이 지금 HDD에 있는데 iso 파일도 SSD에 같이 넣어줘야 속도 향상이 되나요?? 아니면 HDD에 넣고 가상머신을 SSD에 설치해도 속도 향상이 되는건가요??

  • A : Iso는 설치후에는 사용할 일이 없습니다. 그냥 hdd에 두면 됩니다.

리눅스 인터넷 뱅킹[편집]

  • Q : 리눅스에서 국내 인터넷 뱅킹을 실사용하고 계신 분 있으신가요? 어느 은행을 쓰시나요?
  • A : 신한 국민 하나...

우분투에선 기본설치된 파이어폭스에서만 됩니다. 크롬은 보안프로그램 구동을 시키지 못하는 것 같아요.

latex[편집]

  • Q : 리눅스에서 LaTeX 쓰시는 분 계신가요?

쉘스크립트[편집]

  • Q : 갑자기 방금전까지 사용하던 쉘스크립트가 실행되지 않네요.

sh 명령어를 사용해도 어떠한 쉘도 실행되지 않고 root로 실행해도 마찬가지네요. 이유가 뭘까요?

  • A : sh -x 스크립트 해서 확인해보세요

페도라 저장소[편집]

  • Q : 페도라 22부터는 yum대신에 dnf를 사용하던데 무슨 차이인가요? 아니면 그냥 이름만 바뀐건지 궁금하네요.
  • A : 이 포스팅에 따르면, yum이 온라인 저장소와의 의존성 분석(dependency resolution)과 상호작용에 있어서 오래된 문제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문제를 새로운 패키지툴로 해결하려고 했고, SUSE 리눅스의 libsolv와 함께, hawkey라는 기술을 도입해서 만든 패키지툴이 dnf라는군요.

http://www.linux-magazine.com/.../Will-DNF-Replace-Yum

로컬 영상 스트리밍[편집]

  • Q : 로컬에 저장된 동영상(avi, wmv, mp4 등등)을 웹하드와 같은 형식으로 스트리밍서버를 구축하려 합니다. Ubuntu Server 12.04~14.04 에서 h5ai솔루션 등을 이용해서 구축 할 생각인데,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에서 재생이 안되는 버그가 있어서 혹시 스트리밍 서버 구축 유경험자 분중 이러한 경험을 해보신 분 계신가요?
  • A : Dlna 확인해보세요

MySQL deb[편집]

  • Q : 일전에 MySQL를 deb 파일로 설치하려다 실패를 했는데..

다른 걸 apt-get으로 설치하려 해도 자꾸만 아래와 같이 뜹니다 mysql-community-source (5.6.24-1ubuntu14.04) 설정하는 중입니다 ... mysql-server-5.5 (5.5.41-0ubuntu0.14.04.1) 설정하는 중입니다 ... start: Job failed to start invoke-rc.d: initscript mysql, action "start" failed. dpkg: error processing package mysql-server-5.5 (--configure): 설치한 post-installation 스크립트 하위 프로세스가 오류 1번을 리턴했습니다 dpkg: dependency problems prevent configuration of mysql-server: mysql-server 패키지는 다음 패키지에 의존: mysql-server-5.5: 하지만: mysql-server-5.5 패키지는 아직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dpkg: error processing package mysql-server (--configure): 의존성 문제 - 설정하지 않고 남겨둠 Processing triggers for libc-bin (2.19-0ubuntu6.6) ... 보고서를 작성하지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에 따르면 예전의 실패 때문에 생긴 부수적인 오류입니다. 처리하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mysql-server-5.5 mysql-server E: Sub-process /usr/bin/dpkg returned an error code (1) 어찌 하면 좋을까요 ㅠㅜ

  • A : Apt-get purge 로 의존성 패킺를 싹 제거해주시고 sbin 폴더나 bin 폴더안에있는 각종 mysql 서비스 파일들 삭제해주시고 패스 싹 날려주시고 재시도해보세용 안되면 뭐 새로깔아야죠 ㅎㅎ

파이어폭스 탭 복구[편집]

  • Q : 파이어폭스로 시크릿 탭이랑 그냥 탭 같이 열어 쓰다가 실수로 그냥 탭 먼저 닫아서 탭 모두 날린 경험 하신분 없나요? 이번이 두번째인데 탭 복구하고 싶어 미치겠네요. 방법 아시는 분 있나요 ㅠㅠ 탭 그룹을 전부 복원하고 싶은데요. 으아아........
  • A : 강제종료 된거 비정상 종료는 ctrl shift t로 전체 복구가 되고요 여러번 눌러보세여 계속 복구되여

systemD[편집]

  • Q : 15.04부터 systemd로 바뀌었다고 하는데요, 저는 서버관리자도 아니고, 일반 사용자라 바뀐게 체감은 안되네요. 부팅속도가 약간 빨라졌다? 정도입니다. 실제 사용 중에 달라지는 점이라면 뭐가 있을까요?
  • A : 데스크톱"만" 쓴다면 사실 큰 지장은 없을건데 서비스를 건드리기 시작하려고 할 때부터 재앙의 시작.

서버 원격 ssh[편집]

  • Q : 안녕하세요? centos 5.10 버젼 사용하고있는데요

mariadb 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서버에서 디비에 접속해서보면 한글이 깨져보이거든요 근데 원격 ssh 로 붙어서 디비접속해서 보면 한글이 잘 나옵니다. 어떤 부분이 문제가 있는걸까요?

  • A : 쌩 서버 콘솔에서 붙어서 보시면 깨져나오죠. 그냥 한글도 아마 깨져나올텐데 ... ssh에서 볼때 문제 없다면 문제 없는겝니다. 그냥 작업하셔도 돼요 .

boot 파티션[편집]

  • Q : 안녕하세요. 예전부터 리눅스에 관심이 많아서

한참 막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업데이트 관련해서 '/boot' 메모리가 부족으로 업데이트를 하지 못 하고 있는데 boot 파티션을 확장 시키는 방법이 있을까요? 구글링을 하는데 제가 구글링을 못 하는지 못 찾겠네요 ㅠ_ㅠ 처음 설치할때 '/boot' 메모리는 180mb 줬는데 지금 사용량이 120mb 정도 되네용...

  • A : sudo apt-get autoremove 명령어로 보통 안쓰는 오래된 이미지들이 지워집니다. 아니면 터미널에서 /boot로 이동하셔서 ls로 이미지 리스트 보시고 숫자 낮은거(오래된 이미지들로, 보통 부팅에서는 최신버전을 씁니다) 지우시면 됩니다. 대개는 sudo rm *43(등등의 낮은 숫자)-generic 으로 몇 종류 골라서 지워주시면 됩니다. 저는 최신 3개정도는 남기고 나머지만 지우는 방식 씁니다. 일단 autoremove 명령어 써보시고 그래도 안되면 직접 지워주시면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