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어플리케이션 : 내가 좋아하고 당신이 좋아할만한 소프트웨어 : 바람직한 우분투 초보자 문서
시작합니다~
내가 좋아하고 당신이 좋아할만한 소프트웨어[편집]
말랑 말랑하게 추천해 본다
상콤상콤하게 유혹해 본다
쿠쿠쿡 ^_^
소프트웨어 관리자와 PPA 저장소 추가[편집]
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왠만한 프로그램을 검색 설치할 수 있다.
검색하고 설치하고 삭제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같지만
소프트웨어 관리자 보다는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서 좀 더 세세한 설정이 가능하다.
근데 잠깐?
소프트웨어 관리자에 없거나 혹은 등록되지 않은 최신 버젼을 쓰고 싶다면?
bakminsu 라는 소프트웨어를 깔려고 하는데
소프트웨어 관리자에는 없고 ppa 주소가 ppa:runningman/bakminsu 라고 딸랑 알려주면?
터미널에서 sudo add-apt-repository -y ppa:runningman/bakminsu 를 입력하면 ppa 주소가 추가된다.
이후 sudo apt-get update -y 를 통해 추가한 주소를 업데이트 한다.
이제 마지막으로 sudo apt-get install -y bakminsu 를 입력하면 설치가 시작된다.
한 번에 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sudo add-apt-repository -y ppa:runningman/bakminsu && sudo apt-get update -y && sudo apt-get install -y bakminsu
터미널에 붙복하고자 한다면 Ctrl V 대신에 Ctrl Shift V 해야 된다.
기본 터미널로는 드래그 앤 드롭도 가능하다.
그리고 추가한 ppa 주소 관리는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의 설정 - 저장소 - PPAs에서 할 수 있다.
여기서 또 잠깐!!!
해당 패키지가 14.04 trusty 까지 지원하는데 나와 당신이 14.10 utopic 최신 버젼을 깔았다면,
14.10에서는 ppa를 추가해도 아직까지 해당 버젼을 지원 못해서 install 이 불가 할 수도 있다.
시스템 관리 부문[편집]
preload
메모리에 2mb를 상주하여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 실행 속도 향상 시킨다.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검색하여 설치할 수 있다.
ubuntu tweak
오래된 커널과 웹브라우저 캐시 시스템 캐시 청소하기. GTK-아이콘-커서 테마 바꾸기. 내 문서 경로 바꾸기.
sudo add-apt-repository -y ppa:tualatrix/ppa
혹은 http://ubuntu-tweak.com/ 에서 deb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다. 이건 아직까지 소프트웨어 관리자에 없는 거.
bleachbit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하는 프로그램이다.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검색하여 설치할 수 있다.
deborphan
미사용 파일 및 패키지를 정리해 준다. 따로 autoremove --purge와 autoclean를 안 해줘도 된다고 한다. 따로 gui 소프트웨어를 받을 필요 없이 터미널에서 실행해 주면 된다.
sudo deborphan | xargs sudo apt-get remove --purge -y
grub-customizer
grub 부팅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grub 부팅메뉴 대기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grub 배경화면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
sudo add-apt-repository -y ppa:danielrichter2007/grub-customizer
이후로 sudo apt-get update -y와 sudo apt-get install -y grub-customizer는 안 써도 자동!
꾸미기 부문[편집]
xcompmgr
dock이나 pannel, 혹은 terminal에서 투명 효과가 필요할 경우에 실행한다.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검색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당장 실행하려면 Alt+F2에서 xcompmgr을 치면 되지만 부팅 때 마다 할 수 없으므로
시작 프로그램으로 xcompmgr을 등록하면 된다.
docky, cairo-dock, awn
리눅스에서 대표적인 세가지 덕 프로그램.
아래 페이지에서 상세하고도 노골적이고도 화끈한 비교샷을 볼 수 있다.
http://askubuntu.com/questions/40878/how-can-docky-awn-cairo-dock-and-unity-be-compared
참고로 덕 대신에 기본 패널도 쓸만하다. 저사양 유저한테는 가장 빠릿하기도 하고.
개인적인 소감으로는 docky, ciro-dock, awn, 기본 패널 네 가지 중에서 유난히 맘에 드는 건 없다.
잘 쓰던 하나는 뭔 이윤지 맨날 튕기고, 하나는 너무 부담스럽게 3D 효과가 튀고, 하나는 별로 안 써 봤고, 하나는 의외로 쓸만하다. (순서대로 평한다.)
guake, tilda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터미널이다.
둘 다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설치할 수 있다.
터미널 프로그램이 왜 꾸미기 부문에 들어 있냐고? 기본 터미널 그냥 쓰면 뽀대가 안나잖아~
위에서 먼저 소개한 xcompmgr이 실행되어 있어야 투명한 배경을 설정할 수 있다.
guake는 에프12를 누르면 자동으로 상단에서 터미널이 내려오고 올라간다.
tilda는 에프1을 누르면 자동으로 나타났다 사라진다. 근데 창 이동이 옵션에서만 가능하다.
창 위에서 ALT키를 누르고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채로 이동이 가능하다.
Conky
간지나는 간단한 시스템 모니터
바탕화면에 띄워놓고 가만히 보고있으면 전문가가 된 듯한 기분이 든다.
다만 설정이 약간 난해하다.
멀티미디어 부문[편집]
치즈
웹캠 촬영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cheese를 찾아서 설치하면 된다.
간단한 효과도 있다.
gThumb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gthumb을 검색해보자. 뷰어지만 간단한 편집기능이 들어있어서 사진편집이나 간단한 텍스트를 붙이고 싶을 때 유용하다.
vokoscreen
녹화 녹음 캡쳐를 다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설치한다.
유용한 캡쳐 프로그램으로 shutter도 있는데 이건 저사양에서 실행시 처음 로딩이 오래 걸린다. (자기가 포토샵인줄 암)
간단한 사진 편집 프로그램으로 xnretro가 있고 자세한 설명은 http://edoli.tistory.com/126 여기에서. 둘 다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설치할 수 있다.
moc
위에서 소개한 guake나 tilda 같은 투명 터미널과 조합하면 금상첨화인 터미널 음악 재생기다.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설치할 수 있다.
실행은 터미널에서 mocp를 입력한다.
대문자 T로 스킨을 변경할 수 있다.
종료는 q이다. 정지로 s 안 누르고 끄면 계속 재생된다.
기능별 단축키에 대한 원문은 http://polishlinux.org/apps/cli/moc-audio-player-advanced-tricks/
좀 더 자세히 소개한 한국어 페이지는 아래를 참고.
기타 부문[편집]
focuswriter
타자를 칠 때마다 효과음이 나고
특히 최신 1.3버젼은 문서화면 전체가 구석 구석까지 멋진 배경화면을 테마로 적용할 수 있다.
정말 글 쓸 맛 나게 해 준다. (나는 소설가가 된 기분이다. 라고 당신은 외치리.)
근데 최신버젼 한글 입력이 안 된다. 한글화는 되었다. qt5 버그라고 한다.
ppa를 추가 안 하고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까는 1.2 버젼은 한글 입력이 이상 없다.
근데 1.3버젼 보다 많이 뽀대가 별로 안 나는 게 함정.
언젠가 고쳐지겠지. 기억해 뒀다 나중에 써야 한다. 뽀대 나니까.
참고로 ppa:gottcode/gcppa 이거다.
노트북 부문[편집]
tlp
노트북 전력 관리 프로그램이다.
sudo add-apt-repository -y ppa:linrunner/tlp
설치 후 실행은 터미널에서
sudo tlp start
메모리에 따로 프로세서가 상주하는 일 없이 시스템에 자동적용된다.
자세한 페이지는 다음에서 http://sergeswin.com/954
jupiter
또 다른 추천할만한 노트북 전력관리 프로그램이다.
sudo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jupiter
근데 제작자가 우주 여행 간듯. 다운이 안 된다. 더 좋은 것 있으시면 소개팅 좀...
gpointing-device-settings
터치패드 관리 소프트웨어이다.
Disbible touchpad를 선택하면 터치패드를 끌 수 있다.
USB 마우스 연결시 터치패드 자동 끄기 옵션은 그냥 폼이다. 그림의 떡.
그리고 한 번 꺼놔도 재부팅을 하면 다시 설정해 줘야 한다.
xbacklight
노트북 화면 밝기 조절 프로그램이다. 소프트웨어 관리자에서 설치할 수 있다.
사용은 터미널에서 한다.
xbacklight = 숫자(%) : 해당 밝기로 세팅
xbacklight - 숫자(%) : 숫자만큼 밝기 감소
xbacklight + 숫자(%) : 숫자만큼 밝기 증가
ex) Home ~ $ xbacklight + 10%
타자 치는데 터치패드가 자꾸 건드려서 빡친다면?[편집]
터미널에서 입력하자
syndaemon -t -i 1 -d
키보드 입력과 동시에 1초간 터치패드가 멈춤이 된다.
느림보라면 1 대신에 2를 쳐도 된다.
노트북의 한 / 영 키가 오른쪽 Alt 키로 인식된다면?[편집]
간단할 것 같지만 사실 더 복잡한 꼼수[편집]
그냥 입력기 설정에 들어가서 오른쪽 Alt를 언어 전환 단축키로 설정한다. 필요하다면 한자 키도 오른쪽 Ctrl 키로 설정한다.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Alt 조합의 단축키를 한/영키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성질이 급한 사람이라면 한/영 전환을 하면서 ㅈ(W) 키를 누르다가 인터넷 창이 닫혀버리는 대참사를 겪을 것이다.
간단하고 깔끔한 해결방법[편집]
/usr/share/X11/xkb/symbols/altwin 파일을 열어 6번째 줄을 확인한다.
symbols[Group1] = [ Alt_R, Meta_R ] };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저장한다.
symbols[Group1] = [ Hangul ] };
그런 다음, /var/lib/xkb 폴더 안의 파일들을 만약에 대비해 별도의 폴더에 백업한 뒤 지우고, 재부팅하거나 로그아웃-인 한 다음 확인해보면 Alt_R키가 완전히 Hangul 키로 바뀐 걸 확인할 수 있다.
노트북 밝기 조절이 안 된다고?[편집]
터미널로 들어가자.
sudo gedit /etc/default/grub
그리고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이 내용을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acpi_backlight=vendor"
이렇게 수정한다. (뒷부분만 추가함. 혹은 아예 맨밑에 붙여넣자.)
해설하면 'quit splah : 처리결과를 보지 않고' 'acpi_backlight=vendor :acpi_backlight를 vendor로 설정한다.' 라는 거라고 한다. (당신은 이해 하는가?)
저장 후에 터미널에서 다시 sudo update-grub 를 입력 하고 엔터.
재부팅을 하면 이제 오케이.
노트북 밝기 조절은 xbcklight가 아니더라도 우분투 기본 패널에서
추가 패널 중에 LCD 밝기 조정 패널이 있다. 그걸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우분투에서 화면 밝기 펑션키가 안 먹히는 애처로운 당신이 있다면
위의 xbacklight를 이용해 펑션키를 설정할 수 있다.
우분투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는 키보드 바로 가기를 이용하면 된다.
새 바로 가기 키를 만들기 위해 추가를 누르고
이름은 알아서 화면 밝기 높이기 라든가 LCD BACKLIGHT DOWN 이라든가
이후에 명령에는 위의 xbacklight 명령어를 적어준다.
이후에 단축키에 펑션키를 설정해 준다.
노트북 모델에 따라 펑션키가 다르게 적용 되거나 변경이 안되거나 하는 키가 있을 수도 있다. (나처럼)
자세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 http://deviantcj.tistory.com/104
마지막으로 기억에 남는 문서[편집]
민트 한글화를 진행하고 계시며 블로그스팟 네이버블로그, 다음블로그 역시 같이 운영하고 계십니다.
http://bagjunggyu.blogspot.kr/ (블로그)
https://plus.google.com/u/0/101028813073033149665/posts (구글플러스)
리눅스 드라이버가 ddung망인 amd를 아주 맛깔나게 까시는 분이라 한 번 소개해 봅니다.
아주 멋진 리눅스 한글판 pe를 개발 배포하고 있는 초강력 능력자께서 계시는 리눅스 포럼입니다.
리눅스에 관한 몇몇 알찬 포스트와 함께 대단한 양질의 IT 정보가 가득합니다.
http://sergeswin.com/category/IT%20%EC%9D%B4%EC%95%BC%EA%B8%B0/Linux
그밖의 리눅스 블로그
http://bahndal.egloos.com/category/%EB%A6%AC%EB%88%85%EC%8A%A4
http://nemonein.egloos.com/category/%EC%9A%B0%EB%B6%84%ED%88%AC/page/8
마지막으로 리눅스 깔고 지우다가 그분이 오셨을 때 쓸만한 마법의 주문
개인적으로 필요한 팁 모음
http://yueunseon.oranc.co.kr/linux/
국기에 대고 맹세[편집]
본인이 직접 작성 했으며
본 위키 문서에 참고한 원본은 모두 공개된 문서였음을
국기에 대고 맹세합니다.
추가 사항[편집]
2014. 12. 4
1. xcompmgr은 우분투에서 설치할 필요가 없음. 민트는 필요.
2. 노트북 밝기 조절 문제는 3.17 최신 커널에서 문제 없음.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