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som
경고 | |
더이상 유지보수 되고 있지 않은 프로젝트 입니다. 최신 리눅스 데스크톱 환경과 호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Bus 등 다른 입력기를 사용하십시오. |
다솜(Dasom)은 모듈(플러그인)과 유닉스 소켓에 기반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이며 동기식 방식의 입력기 프레임워크입니다.
현재는 더이상 관리되고 있지 않으며, 후속 프로젝트로 님프(Nimf)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설치[편집]
다음의 명령으로 공식 다솜 PPA 저장소를 추가하고 업데이트합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 sudo add-apt-repository ppa:dasom/ppa </syntaxhighlight> 공식 다솜 PPA 저장소 추가 후에 다음의 명령으로 패키지들을 설치합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dasom dasom-gtk dasom-qt dasom-jeongeum </syntaxhighlight>
터미널에서 사용자 계정 권한으로 <syntaxhighlight lang="bash"> im-config </syntaxhighlight> 을 실행하여 dasom 을 선택합니다. 관리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셨다면 관리자 권한으로 im-config 을 실행시키지 마십시오.
쿠분투 14.04 의 경우 <syntaxhighlight lang="bash"> im-config -c </syntaxhighlight> 을 실행하여 dasom 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나서 <source lang="text"> 로그아웃 로그인 </source> 합니다.
특수문자 파일 설치 (선택 사항)[편집]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특수문자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우분투 14.04, 15.10 의 경우, 아래의 명령으로 특수문자 파일을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source lang="bash">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hoehwanjin/libhangul/master/data/hanja/mssymbol.txt sudo mv mssymbol.txt /usr/share/libhangul/hanja/ </source>
파일이 제대로 이동되었는지 확인합니다. <source lang="bash"> ls /usr/share/libhangul/hanja/mssymbol.txt </source>
그리고 나서 <source lang="text"> 로그아웃 로그인 </source> 합니다.
설정[편집]
물리적인 한글키와 한자키가 존재하는 한글 키보드의 경우 별다른 설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한글 키보드는 한자, 한영, ALT, CTRL 키가 각각 존재하는 키보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로지텍 K120 키보드는 한글 키보드입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581154&cate=112782
한국어 101/104키 호환 키보드 설정[편집]
대부분의 노트북 키보드와 일부 기계식 키보드의 경우 하드웨어적으로는 한/영, 한자 키가 우측 Alt / Ctrl키로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VORTEX TYPE M 한글판 키보드는 비록 한글이 인쇄되어 있지만 영문 키보드입니다.
잘 보시면 ALT 키에 한글
이 인쇄되어 있고, Ctrl 키에 한자
가 인쇄되어 있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2888178&cate=112782
어떤 키보드는 영문 키보드에 한글 인쇄하고 ALT 키에 한영
만 인쇄하고 CTRL에 한자
만 인쇄한 키보드도 있는데 이런 류의 키보드는 모두 영문 키보드입니다.
예를 들면,
체리 G80-3491 키보드는 오른쪽 ALT키에 ALT/한영
이 인쇄되어 있고 오른쪽 CTRL에 CTRL/한자
가 인쇄되어 있습니다. 이 키보드는 한글 키보드가 아니라 영문 키보드입니다.
이러한 키보드에 해당하는 설정입니다.
https://forum.ubuntu-kr.org/viewtopic.php?f=4&t=28262&start=10#p125472
Shift + Space 한영 전환 설정[편집]
dconf-editor 를 사용자 계정 권한으로 실행하십시오. 관리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셨다면 관리자 권한으로 dconf-editor 을 실행시키지 마십시오.
https://github.com/dasom-im/dasom/issues/17
겹자음 설정[편집]
기본값으로 ㄷㄷ
을 칠 경우, ㄷㄷ
로 출력합니다.
그러나 ㄷㄷ
을 칠 경우, ㄸ
이렇게 겹자음으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아래 링크를 읽어보세요.
https://github.com/dasom-im/dasom/issues/13#issuecomment-153344689
언어 엔진 전환 단축키 해제법[편집]
다솜 입력기의 언어 엔진 전환 키가 기본값으로 CTRL + SPACE 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값을 해제하는 방법입니다.
https://github.com/dasom-im/dasom-jeongeum/issues/12#issuecomment-169302860
이클립스(eclipse) 한글 끝글자 버그 회피법[편집]
이클립스 사용하실 때 한글 끝글자 버그가 있습니다. 이 버그는 이클립스 자체 로직 버그입니다.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다솜 입력기에 이클립스 끝글자 버그를 회피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cogniti-works.blogspot.kr/2016/05/blog-post.html
문제 해결[편집]
기존 계정에 다솜 입력기를 설치 및 설정하여도 동작하지 않을 때[편집]
IBUS 등을 사용하도록 설정된 기존 계정에 다솜입력기를 사용하도록 설정한 경우, 재로그인하여도 다솜 입력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기존 설정이 다솜 입력기 동작을 방해하는 경우이므로, 다음과 같이 개인 사용자 설정 정보를 초기화하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현재 계정을 로그아웃합니다. 2. "Ctrl + Alt + F1 ~ F6"을 눌러 콘솔창을 엽니다. 3. 콘솔 창에서 다음을 입력하여 기존 설정 정보를 백업합니다. <syntaxhighlight lang="bash"> ~$ mv .config .config.bak </syntaxhighlight> 4. "Ctrl + Alt + F7"을 눌러 GUI 화면으로 복귀 후, 로그인하면 "~/.config" 디렉토리와 기본 설정이 새로 만들어집니다. 5. 백업한 ".config.bak"로부터 필요한 개인 설정 정보를 복원하십시오.
shift + space 설정을 하였지만 작동하지 않을 경우[편집]
shift + space 설정을 제대로 하였는지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그리고 나서 우분투 시스템 설정 --> 텍스트 입력창 설정 --> 입력 소스 부분의 단축키가 뭘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입력 소스 부분의 단축키로 shift + space 가 할당되어 있다면 shift + space 키값을 우분투 시스템 설정에서 소비하여 다솜 입력기에 전달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 단축키를 아래처럼 초기 설정으로 변경해 주십시오.
시스템 설정 --> 텍스트 입력창 설정 --> 입력 소스--> 다음 소스로 전환: Super+Space
시스템 설정 --> 텍스트 입력창 설정 --> 입력 소스--> 다음 소스로 전환: Shift+Super+Space
이렇게 하시면 shift + space 키값이 다솜 입력기로 전달되므로 한/영 전환이 잘 될 것입니다.